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적분야 신기술 적용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규정의 고찰

A Study on 3D Spatial Information Regul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in Cadastre

  • 216
146135.jpg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따라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적분야에 3차원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신기술 적용을 위해 3차원 공간정보 국내 외의 관련 규정의 현황 및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신기술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적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규정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신기술에 대한 3차원지적의 구축 및 활용에 따른 작업규정의 작업방법 부분의 개정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둘째, 3차원의 품질은 작업의 시간, 경제성, 활용성 등의 측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효율적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측량, 지적, 가시화 정보 등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용도에 따른 품질 부분에 대한 규정이 개선되어야 한다.

As the interest of 3D spatial information increases with the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y is applied.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new technology of 3D space information efficiently to the intellectual fiel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related regul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3D spatial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the new technology to 3D spatial informat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regulation is as follows. First, revision of working method part of working regula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3D cadastre of new technology should be implemented first. Secondly, 3D quality has a great importance in terms of time, economical efficiency and usability of work.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3D spatial information efficiently, the regulations on the quality part according to the use of 3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surveying, intellectual, and visualization information should be improved.

1. 서 론

2.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3. 국내외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규정

4.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규정의 개선방향

5.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