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134.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속지적도를 이용한 서울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분석

Assessing Levels of Green Infrastructure using Serial Cadastral Maps within Seoul City

  • 194

서울시의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녹지축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현황 및 면적 등의 필지정보를 제공하는 연속 지적도를 활용하여 서울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현황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는 지역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964,674개 필지정보와 토지피복지도의 일치 비율을 산출하여 필지정보의 활용 적절 여부를 분석하였고, 각 지목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방해수치를 도출하여 서울시의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방해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구의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1㎡당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1인당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와 권역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시급지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린 인프라스트럭처와 같은 환경 분야에 필지정보의 활용방안 및 중요성을 제시한다.

Seoul city established the 2030 Seoul City Master Plan to re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 with green corridors. Green strategies of Seoul city have limitations of planing because of their conven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are only classified into protection areas and conventional development. Thus, this study assesses green infrastructure of 25 boroughs within Seoul city to identify significant areas for green strategies. To apply parcel data of cadastral information, 964,674 of parcels were compared with 135 of land use maps with calculating percent agreements of land categories of parcel data and land uses from satellite imagery. Impedance values of land uses were applied to land categories to assess green infrastructure of Seoul city. This study indicates levels of green infrastructure of 25 boroughs, per person, and per 1㎡, and suggests site prioritization for green infrastructure initiatives of Seoul city.

1. 서 론

2. 기초 이론 고찰

3. 연속지적도와 토지피복지도 분석

4. 서울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분석

5.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