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작물 생육 라이브러리 구축
Construction of Crop Growth Library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 이창복(Lee, Chang Bok) 김남용(Kim, Nam Yong) 정인준(Jung, In Jun) 민관식(Min, Kwan Sik)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08
- 105 - 117 (13 pages)
본 연구에서는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시기에 재배되는 작물의 영상을 확보하여 작물별 영상 판독 가능성을 확인하고 생육 분석을 위한 생육 라이브러리를 구축 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라이브러리의 구축은 대상지역 작물 4종을 선정하여 생육주기 및 촬영고도에 따라 작물판독 기초 자료인 정사영상을 구축하였다. 고도별 사진 영상의 패턴을 이용한 육안 판독 결과 촬영고도 및 생육주기에 따른 초기 작물 판독은 인식률이 낮았으나 생육 중후반으로 갈수록 높았다. 또한, 작물 재배면적이 1,000㎡ 이상일 경우와 패턴분석 학습효과가 인식률 상승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농업 및 통계 분야에서 작물의 생육 및 현장 조사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며 작물 인식률 제고를 위한 다양한 라이브러리의 구축과 육안 판독의 한계를 극복하는 패턴인식에 대한 연구 보강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secure the video of crops cultivate in various times by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image reading for each crop, and structure the growth library for growth analysis. Structuring of data library is made by selecting 4 types of crops in the subject area to structure the orthophotograph as the base data for crop reading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period and flight height. As a result of the visual reading by using the pattern of photo imaging for each elevation, the initial crop reading following the elevation and growth period had low recognition rate, but it gets heightened as it approaches to mid to later time of growth. In addition, the case of crop cultivation area of 1,000㎡ or more and the learning effect by pattern analysis have work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crease of recognition rat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facilitated in the agriculture and statistics fields for the growth of crop and field survey works, and there is a need to reinforce the study on pattern recogni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visual reading structuring of various libraries for enhancing the crop recognition rate.
1. 서 론
2. 무인비행장치 기반 농업통계 조사
3. 작물 생육 라이브러리 시범구축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