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파열음 발음 학습에 관한 음성학적 연구 및 교수법 제시

  • 846
146168.jpg

본 연구의 주 목표는 현재 한국어를 배우는 실제 러시아권 (러시아 연방 및 구소련의 국가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실력을 향상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어 중 파열 음 (ㄱ[k]-ㄲ[k ]-ㅋ[kʰ],ㄷ[t]-ㄸ[t ]-ㅌ[tʰ],ㅂ[p]-ㅃ[p ]-ㅍ[pʰ])과 파찰음 (ㅈ[ʧ]-ㅊ[ʧʰ]-ㅉ[ʧ ]) 구 분하며 발음하는 것은 그 동안 러시아권 학습자들의 최대 난제였으며, 기존 연구나 학 습방법도 전무하다. 러시아권에 한류가 급속도로 퍼짐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을 위한 보다 더 정확하고 효과적인 발음 교육 자료나 방법이 필요해졌고, 따라서 본 연구가 그 실용적 목표를 달성하게 할 수 있다. 주 목표에 달성하기 있어서 단계적인 목표 3 가지를 세운다: 1. 이론 면에서는 러시아어권 학생들이 있어서 음성학적 기초를 인식하기 위해 한국어 와 러시아어의 자음 체계의 음성학적 특징 비교를 통해 차이점을 학생들에게 보여 준다. 그 과정에서 음성학적인 용어 통일화 시켜 음성학적인 개념들을 이해하게 한 다. (예: 한국어 파열음 3 가지 자음종류 평음, 경음, 격음 차이와 러시아어 파열음 2 가지 자음 종류 유성음, 무성음). 2. 이론적인 지식을 이용해 실용적 듣기와 학습자의 실제 발음 데이터를 녹음 후 분석 한다. a) 데이터는 (학생들의 발음 실수) 음향적 분속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Praat 통해 녹음해서 분속한다; b) 분속 결과가 나오면 실수의 통계와 체계를 만들고 실수의 원인을 찾고 원인의 발생 이유를 분속한다. 실수 원인이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다: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 발음할 때 조음적 실수와 청취 실력 부족 때문이다; c)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실수를 제거하기 위해 한국 발음 교 재를 개발한다. 3. 본 연구의 저자는 여러 러시아 문헌과 교재를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글의 러시아 번역시 단어의 표준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문학을 러시아 번역시 번역자에 따라 러시아어 표기가 다르게 나타나다. 따라서 본 연구 목표 중 하나는 키릴문자(러시아어)로 올바른 한글 transcription 기호를 개발이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