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216.jpg
KCI등재 학술저널

관계적 직무설계와 직무관계 이론의 비판적 검토

Relational Job Design and Theories of Work Relationships: A Critical Review

DOI : 10.26856/kjom.2019.27.1.73
  • 1,591

경영환경과 기술변화로 인하여 상호의존성과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현대 조직에서 일(work)의 내용과 수행방식이 크게 바뀌고, 일을 둘러싼 직무관계(work relationship)가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조직연구에서 직무설계 이론은 1980년대 Hackman & Oldham의 직무특성 모형(JCM) 이후 주목할 만한 발전이 없었으며, 최근 직무의 사회적, 관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관계적 직무설계(relational job design) 이론이 학계와 실무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글은 일의 변화를 직무관계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과거 직무설계 이론의 주요 흐름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관계적 직무설계 이론의 주요 내용을 관계적 관점과 주도적 관점으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그 문제점과 대안을 탐색하였다. 관계적 관점은 직무의 사회적 특성, 조직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지만 그 효과가 발휘되는 메커니즘과 명확한 경계조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직무재창조와 I-deals를 중심으로 한 주도적 관점 역시 재창조의 수준과 범위, 직종 간 차이와 조직 내 공정성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보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계적 직무설계 이론의 한계점을 정리하고, 향후 직무관계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네 가지 이론적 자원으로 1) 정체성과 몰입 이론, 2)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 3) 긍정조직연구(POS), 4) 비판이론을 소개하고 향후 연구방향과 주요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과 직무관계의 분석과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의 균형,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의 균형, 외부 환경과 내부 구성원의 변화를 함께 고려하는 관점의 균형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몇 가지 실무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As business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rapidly change, interdependence and uncertainty in the workplace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Accordingly, the nature and way of doing work has changed dramatically, as well as work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between employees and supervisors, and between employees and clients. Nevertheless, after the establishment of Hackman & Oldham’s job characteristics model (JCM), contemporary job design theories have ignored the social and relational aspects of work, reflecting a lack of meaningful development of studies on work design or work relationships.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social side of work and focuses on the work relationships rather than job design. In doing so, it critically reviews the recent “relational job design” theory (Grant & Parker, 2009) by examining theoretical problems and possible alternatives to two aspects of this new stream: relational perspective and proactive perspective. In addition, for further development of work relationships theory, this paper introduces four theoretical resources: 1) social identity and engagement theory, 2) social network theory, 3)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POS), and 4) critical theory. Drawing on major arguments and theoretical insights of these resources, it explores new directions of work relationships theory and suggests promising and underdeveloped research topics. In conclusion, I argue that we need a balanced view of technical and social, micro and macro, and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surrounding work to better understand future work relationship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theoretical work are also discussed.

Ⅰ. 서론

Ⅱ. 직무설계 이론의 발전과 한계

Ⅲ. 관계적 직무설계 이론의 검토와 평가

Ⅳ. 직무관계 연구를 위한 이론적 자원과 향후 연구방향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