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221.jpg
KCI등재 학술저널

Comparison of distinct features observed in Class Critique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예비교사와 경력 교사의 수업 비평문의 특성 비교

DOI : 10.18230/tjye.2019.27.1.119
  • 108

한국에서의 수업 비평은 근대적 교육관이나 객관주의적 수업 설계의 관행에 기반 한 수업 관찰, 실천 관행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업 실천을 모색하기 위한 관찰법과 연구방법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업 비평의 산출물 중 하나인 수업 비평문에 대해서 관심을 가진다. 수업 비평문에는 수업 비평자의 관점, 관찰한 수업에 대한 상세한 묘사, 수업에 대한 비평자의 해석과 평가, 그리고 현장 교사가 수업 비평문을 작성하는 경우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과 성찰 등의 정보가 담기는 것이 보통이다. 또 연구의 관점에서 보면 수업 비평문에는 수업 관찰자의 수업에 대한 안목이 녹아 있기 때문에 예비 교사, 초임 교사, 경력 교사 등 교사의 경력이나 교과 영역에 따라서 수업 비평문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 변인에 따라서 수업 비평적 안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두 그룹(예비교사, 경력교사)의 서로 다른 두 집단이 쓴 수업 비평문을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를 드러내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비평 활동이 수업 전문성 신장에 지니는 함의를 끌어내고자 한다. 두 집단의 수업 비평문을 NVivo 10을 활용하여 개념화, 범주화 하였고, ‘글쓰기 형식’, ‘주목하는 수업 현상’, ‘분석 및 평가’, ‘관찰 관점의 주체’, ‘성찰’의 다섯 가지 범주가 추출되어 두 그룹의 특징 및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수업 비평 활동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지니는 함의를 끌어내고자 교사수업을 관찰하는 안목의 변화, 수업비평의 교육적 기능, 수업 비평 글쓰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lass critique is recognized in South Korea as a method for class observation and research to improve conventional class observation and instructional practices based on modern views on education and objective instructional design as well as to seek new instructional practices. The study takes interest in class critique texts, one type of output of class critique. These texts usually represent the connoisseurship of those who write class critiqu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bserved classes, their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the classes, and their reflection and contemplation on the classes in the case of writing of critiques by in-service teachers on their own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these texts reflect the connoisseurship of class observers on the classes, and thus enables the analysis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teachers, newly appointed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as well as among those who deal with different subjects, showing the variations based on diversified factors. The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class critiques written by two groups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figure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draw the implications of class critique activiti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NVivo 10 is used to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class critiques of the two groups, leading to the creation of five categories such as‘writing format,’‘distinctive class phenomena,’‘analysis and assessment,’‘main subject in class observation’and‘reflection,’as well as major features of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Discussion was then made on the changes of connoisseurship on class observation, educational functions of class critique, and writing of class critiques, to elicit the implications of class critique activiti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and Findings

Ⅴ. Discuss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