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이 학교 체제에 던지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오픈북 시험을 제안하고,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623명을 대상으로 오픈북 시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그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오픈북 시험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와 기대효과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응답자의 학교급, 성적, 학습내용관, 학습평가관 등 여러 변인과의 관계 속에서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학생의 약 62%가 오픈북 시험을, 약 38%가 전통식 시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반응은 학교급, 성적, 학습평가관, 기대효과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픈북 시험 혹은 전통식 시험을 선호하는 주된 이유를 분석하였고, 오픈북 시험이 가져올 수업 내용, 수업 방법, 시험 준비, 시험불안, 기억효과, 사고력 향상, 학습태도 등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기대효과 에 대한 인식과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학생들의 인식을 기초로 오픈 북 시험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Faced with the rapid rate of increas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we are obliged to reflect on the validity of traditional closed-book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method of evaluation. This method, the ‘open-book examination’ is considered to be a simple but powerful way to meet the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under the premise that assessment methods ar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earning. For this purpose, 623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 and expectation effects of the open-book exam.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students school level, academic achievement, epistemological belief, perspective on the function of evaluation and the expect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62% of the students preferred the open-book exam, while about 38% preferred the traditional closed-book exam. The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grade, the perspective on the function of the exam and the expectation effect.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reasons for preferring the open book exam or the traditional exam respectively, the expectation effects of the open-book exam on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the instruction, the way of preparation for the test, test anxiety, higher order thinking, memory and so 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 of human cognition and the methods of authentic assessment which is worthy of emphasizing in this knowledge econom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