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221.jpg
KCI등재 학술저널

혁신학교 진학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Analyzing Transitions and Determinant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in Adolescents: An Application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 553

본 연구는 혁신학교 진학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 잠재계층과 잠재계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의 4-6차년도(중1-중3)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 잠재계층의 변화양상과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3단계 접근법(3-step approaches, Asparouhov & Muthén, 2014)을 적용한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의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 잠재계층은 ‘고성취-고성숙 집단’과 ‘저성취-저성숙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 잠재계층도 ‘고성취-고성숙 집단’과 ‘저성취-저성숙 집단’으로 분류되어 각각 두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 되었다. 중학교 1학년 시기에서 중학교 3학년 시기까지의 잠재계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저성취-저성숙 집단’인 경우 자발적 주도성 창의성과 부모애착 신뢰가 높을수록 중학교 3학년 시기에 ‘고성취-고성숙 집단’으로 변화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entering innovation middle school,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latent classes and transitions of latent classes over middle school years. Data were utilized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12 (4th and 6th waves)」,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3 step approaches was used. The results highlighted two latent classes in both 1st and 3rd grade in middle school which were identified:‘low-achievement and low-maturity’and‘high-achievement and high-maturity’, respectively. The higher autonomous creativity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for‘low-achievement and low-maturity group’in the 1st grade in middle school,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transferring to ‘high-achievement and high-maturity group’n the 3rd grade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urrent study, the implic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