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279.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터넷 기반 동화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Internet-based fairy tale-reading education program Effect of read 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 194

본 연구는 인터넷 기반 동화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S시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 5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통제 집단은 지능, 연령, 읽기 능력이 비슷한 같은 학교 통합학급 장애 학생 5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인터넷 기반 동화 읽기 교육프로그램을 투입하였고, 통제집 단은 전통적인 동화 읽기 교육을 실시하여 대상 학생들의 사전ㆍ사후 검사 순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4월 2일부터 2018년 7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에 효과를 검증 하기 위해 양적연구로 독립표본 t검정으로 사전ㆍ사후의 읽기 이해력, 읽기 태도 효과를 살펴보 았다. 그 결과는 인터넷 기반 동화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기반 읽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인터넷 기반 동화 읽기 자료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 영상, 음향 등 이용하여 읽기 자료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읽기 이해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인터넷 기반 읽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인터넷 기반 읽기 프로그램은 보다 역동적인 학생 중심 교수방법으로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읽기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게 하고 적극적인 읽기 태도를 기르는데 도움을 주게 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Internet-based program is to understand and influence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team selected four disabled students from Middle School in Jeollanam-do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four students with integrate d class disabilities from the same school with similar intelligence, age and reading abil ity. Internet-based Fairytales reading programs were introduced to the experimental grou p, and the control group provided traditional fairy tale reading education to conduct the study in the order of pre- and post-examination of student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March 2, 2018 to June 9, 2018.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in advance and after using -T The result is that Internet-based fairytales reading programs affect the reading com 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 Intern et-based reading programs have been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cy among students with i 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hows that the contents of the reading material can be vie wed using 3D images and images using Internet-based fairytales reading material, effectiv ely showing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Second, Internet-based reading programs have b een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ding habi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is a more dynamic,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that has inspired student curios ity, helping to dispel fear of reading and foster an active reading attitud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