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정의 <촛불>에 투영된 심리 분석
- 김초록(Kim, Cho Rok)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한국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연구 제10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9.02
- 21 - 38 (18 pages)
본고는 한국 낭만시의 대가 신석정 시인의 시집<촛불>을 택하여 작품에 나타난 시작(詩作)심 리를 분석함으로써 일제의 식민치하의 상황에서 그가 보여주는 낭만의 본질과 창작과정 또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석정의 <촛불>에 대한 심리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촛불>에서 당시의 정신사적인 환경이 주는 일제에 의한 탄압에서부터의 강박관념으로 하여금 ‘촛불’로서 저항을 시도하지만 도피 또는 이상세계를 지향하는 태도도 예상된다. 즉,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석정 개인의 무의식적인 측면으로 자신의 시로써 그러한 감정을 전위시켜 모든 자연에 자신을 투사시키고 있다. 둘째, <촛불>의 의미인데, 하나는 어둠을 밝히려는 어둠에 대한 공포기피의 의미와 다른 하나는 촛불을 통한 그 자체의 공포 의미이다. 석정에 있어서 어둠으로부터 고립관계는 이미 촛불과의 관계에서 밤이라는 거대한 공포 즉,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의 강박관념에 쌓여 끊임없는 ‘억압’으로부터 도피적인 의미이며, 또 하나의 의미론 자연조화 현상에 대한 촛불의 불안한 밝음이다. 불안한 밝음은 어둠 공포에 대한 공포를 더욱 가중시키는 것으로써 치환현상을 빚어내고 있다. 셋째, <촛불>에서 가장 특별한 인물은 어머니다. 석정에 있어서의 어머니는 불안한 내면세계 로부터 벗어나게 해주는 위안자의 구실을 하며 늘 대자연과의 만남으로 깊은 사고와 함께 경건한 기도의 자세로 어머니를 찾아 어린 시절로의 퇴행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어머니의 세계는 석정에게 있어서 어머니로써 자연을 관조하는 매체가 되며 그의 시의 세계가 되고 어머니를 통하여 열린 세계 즉 자기부정에 의한 개방주의 관조로써 미를 터득하고 그 서정을 회화적 이미지에서 조촐한 이상세계를 보여준다.
The <Chot Bull> anthology was published in 1939 when the restraint of Japanese was aggravated. The conclusions of psychological study on Suk Jung s <Chot Bull> anthology are as follows; First, in <Chot Bull>, the obsession from Japanese oppression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the time is to try to resist as a ‘Chot Bull’ but also to seek refuge or idealism. The unconsciousness side of individual that can protect itself Suk Jeong is being displacement to project itself into all nature such emotion. Second, the meaning of <Chot Bull>, one of which means phobia about darkness to lighten the darkness, and the other means phobia itself. The Suk Jeong that isolation from darkness is already night in relations with the <Cho t Bull>, an obsession i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a constant repression from a refuge. Another means unstable brightness of the <Chot Bull> at the moment of natural har mony. An uneasy brightness is creating a displacement to the fear of dark fear. Third, the most special person in <Chot Bull> is Mother. Mother is reliever to Suk Jeo ng from unsafely inner world, always through his meeting with Mother Nature, deep thought s and reverential prayers and shows his childhood regression. Mother s world becomes the medium for observing nature as a mother to Suk Jeong, becom es his poetry s world, and learns beauty as an open-minded gesture of self-denial opennes s through Mother, and shows the lyric in a simple ideal world in a pictorial image.
1. 들어가는 말
2. 시적 동기
3. 촛불의 의미
4. 어머니의 구조
5.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