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에’, ‘-에서’의 의미 연구 - 장소 의미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Meaning of Korean Postpositions‘-에’,‘-에서’for Chinese Learners -Focus on the meaning of place-.

  • 174
146279.jpg

본 연구는 ‘-에’, ‘-에서’의 장소 의미에 대한 제반 논의를 토대로 두 조사의 의미를 살펴본 후, 한·중 병렬 말뭉치 자료를 통해 ‘-에’, ‘-에서’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고찰하고 그 차이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에’는 ‘사람이나 사물이 존재하는 위치’, ‘동작 또는 그 결과가 귀착되거나 나타나는 위치’, ‘목표지/도착지’의 의미를 가리키는 데반해, ‘-에서’는 ‘동작이나 행위가 일어나는 처소’, ‘출발점/시작점, 분리점’의 의미를 가리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어 대응 표현을 보면, ‘-에’는 ‘무표지’로 실현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중국어 전치사(在, 到), 전치사구(在…上, 在…裏), 방위사(裏, 上)와 두루 대응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에서’는 중국어 전치사 ‘在’와 대응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무표지’, 전치사(在, 從), 전치사구(‘在/從…裏, 在…上/下), 방위사(上, 裏)와 두루 대응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조사는 ‘在, 裏, 上, 在…上, 在…裏’의 5가지 중국어 대응 표현을 공유하고 있고, 세부적인 문장 구조를 보면 ‘[在NP+V]’, ‘[NP上+V]’의 형식을 공유하고 있다. 분석 결과, ‘-에’로 실현되는 ‘[在NP+V]’, ‘[NP上+V]’의 형식은 모두 ‘동작 또는 그 결과가 귀착되는 위치’의 의미를 나타내고, ‘-에서’로 실현되는 ‘[在NP+V]’, ‘[NP上+V]’의 형식은 ‘동작이나 행위가 일어나는 처소’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경우 ‘[在NP+V]’, ‘[NP上+V]’의 형식이 각기 ‘[V+在NP]’, ‘[V+在+NP上]’의 형식으로 전환할 수 있으면 조사 ‘-에’에 해당하고, 전환할 수 없으면 ‘-에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객관적인 한·중 병렬 말뭉치 자료를 토대로 ‘-에’와 ‘-에서’의 장소 의미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고찰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며, 나아가 향후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inese expression compared to Korean ‘-에’, ‘-에서’ through Korean· Chinese parallel corpus data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fter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two postpositions, based on the overall discussion of the meaning of place in ‘-에’, ‘-에 서’. As the result,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에’ indicates ‘the posi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the location that displays a motion or a result’, the meaning of ‘target area/destination’, while ‘-에서’ indicates ‘the place where a motion or action occurs’, ‘starting point/ initial point, separation point’. To see the Chinese expressions compared to these, ‘-에’ appeared with ‘non-expression(무표지)’ most frequently without Chinese expression compared to this, besides, widely expressed with Chinese preposition(在, 到), prepositional phrase(在…上, 在…裏), directivity(裏, 上). On the other hand, ‘-에서’ is most frequently compared to Chinese preposition ‘在’, besides, compared to ‘non-expression(무표지)’, preposition(在, 從), preposition phrase(‘在/從…裏, 在…上/下), and directivity(上, 裏). Both 5 Chinese postpositions ‘在, 裏, 上, 在…上, 在…裏’ were shared, to see more detailed sentence composition, ‘[在NP+V]’, ‘[NP上+V]’ forms are shared. As the analysis result, ‘[在NP+V]’, ‘[NP 上+V]’ forms, realized in ‘-에’, both indicated the meaning of ‘location where motion or result is concluded’, and ‘[在NP+V]’, ‘[NP上+V]’ forms realized in ‘-에서’ displayed the meaning of ‘place where motion or action occurs’. In this case, ‘[在 NP+V]’, ‘[NP上+V]’ forms belong to postposition ‘-에’ when change to respectively ‘[V+在NP]’, ‘[V+在+NP上]’ is possible, and belong to ‘-에서’ when change is impossibl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respect of considering Chinese expressions compared to the meaning of space in ‘-에’ and ‘-에서’ based on objective Korean· Chinese parallel corpus data, furthermore, the researcher expects this research could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1. 들어가며

2. ‘-에’, ‘-에서’의 장소 의미

3. ‘-에’, ‘-에서’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

4. 나오며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