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와 경성/연성 국력: G20 국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 하에서 본 연구는 공간적 범주로서 G20 국가들(EU의장국을 제외한 19개국)을, 시간적 범주로서 최근 상황(2013년 자료)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또한 국제올림픽위원회(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의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 지도국 집단으로서 대표되는 G20 국가를 경성/연성국력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스포츠 외교 역량을 경성/연성 국력을 대변하는 하나의 지표로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경성국력을 기준으로 한 G20 국가의 위상을 다루고, 이어서 정치적 민주화와 국가투명성이라는 연성국력 측면에서 G20의 현황을 경험적으로 고찰하면서 스포츠 외교 차원에서 G20 국가의 위상을 검토하는 것이다. 결 국 세계 지도국이 되기 위해서는 경성국력과 연성국력의 겸비가 중요하고 스포츠 외교는 이러한 경성/연성 국력의 반영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rts diplomacy and hard/soft power in G20 countries. It shows the validity of argument that there is a big discrepancy between the two powers in some of G20 countries. G20 countries such as China, India, and Russia as hard powers are facing serious corruption problems which prevent politico-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consensus in the long run. Also, Russia and China are in low levels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Their global leadership and national prestige will hinge on their success and failure of fighting against corruption and progressing toward democratization. Sports diplomacy shows characteristics of hard and soft powers together.
Ⅰ. 서론: G2와 G20의 국력에 대하여
Ⅱ. 경성/연성 국력 측면에서 본 스포츠 외교
Ⅲ. G2와 G20의 경성국력과 스포츠 외교
Ⅳ. G2와 G20의 연성국력과 스포츠 외교
Ⅴ. 결론: 스포츠 외교라는 경성/연성 국력 측면에서 본 G20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