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청암의 리더십 가치체계에 대한 인지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두가지 방법을 활용했다. 첫 번째 방법론은 마가렛 허만(Margaret G. Hermann)의 일곱 가지 지도자 특성(leadership trait)에 부합하여 청암어록에 대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청암 리더십의 특성은‘과업지향성 혹은 관계지향성’,‘ 문제해결을 위한 총체적 개념의 복합성’영역이 가장높게나타난반면,‘ 업무수행과정에서의타인에대한불신’영역은미비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분석방법은 청암어록에 나타나는 단어의 동시출현 빈도 및 청암의 리더십 특성과 관련된 단어의 사용빈도로 리더십 특성의연구결과를검증하는것이었다. 이에따라‘인재양성’,‘ 국가발전’,‘ 세계시장’을 겨냥한 청암의 목표의식을 유추할 수 있었으나 동시출현 빈도와 사용빈도만으로 단어 간 인과관계의 속성을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청암에 대한 사례와 평전을 참고하여 청암 가치체계의 흐름을 구성했다. 본연구는 청암의 인간중심의 사고, 전문경영인으로서의 복합적인 사고력, 그리고‘제철보국’을 향한 국가 지도자로서의 과업지향성이 청암의 가치체계를 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presents two types of content analysis methods to examine the value system of the founder of POSCO, Tae-Joon Park. First of all, this study evaluated the leadership traits of Park through Hermann’s Leadership Trait Assessment method. Among the seven leadership traits identified by Hermann, Park scored the highest in ‘task orientation’ and ‘conceptual complexity’, whereas his score for ‘distrust of others’ was close to zero. In order to verify these three traits,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cooccurrences and frequency of the words Park used in speeches, interviews, meeting minutes and others. As a result, Park appeared to be focused on accomplishing in ‘education’, ‘national development’ and ‘world market’. Since the co-word analysis can suggest how much the speaker emphasized a certain topic, but not define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words, this article refers to case studies and biographies on Park to establish a framework of his value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ark’s value system is based on his trust and respect for people, as well as his ability to think under complex circumstances and his capacity to carry out his patriotic service by managing POSCO.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청암의 리더십 유형과 가치체계 분석
Ⅳ. 결 론: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선거비용 및 정치자금제도의 적용과 형평성 평가: 제5회 전국 지방선거
- 권력의 개인화와 유신헌법: 권력 의지의 초입헌적 제도화
- 군가산점제도 재도입 문제: 공정한 사회를 위하여
-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발전전략: 비판적 평가
- 김대중의 일본에 대한 인식과 전략: 주요 저작과 어록을 통해 본 인식의 진화와 정치적 선택
- 프랑스 소재 외규장각 도서반환 협상 과정 및 평가
- 한일관계와‘비정식접촉자(非正式接觸者)’ : 국교정상화 성립 전후로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 내용분석을 통한 청암(靑岩) 박태준의 가치체계 연구: 허만(Hermann)의 리더십 특성 연구방법 (Leadership Trait Assessment)을 중심으로
- ДОКУМЕНТЫ РОССИЙСКОГО 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ИСТОРИЧЕСКОГО АРХИВА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КАК ИСТОЧНИК ИЗУЧЕНИЯ РОССИЙСКО- КОРЕЙСКИХ ОТНОШЕНИЙ (II пол. XIX в. –1930-е гг.)
- 포스트 김정일시대 한국의 통일전략
- 북한 사이버 심리전의 실체와 대응방향
-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1)
- 새로운 정체성‘Korean-American’에 관한 비교연구
- 초국가적 동북아 철도네트워크의 기원과 성격: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과 군사적 제국주의
- 19세기 중엽~1930년대 한∙러 관계사의 보고로서 러시아 극동역사문서보존소 문헌 현황
- 재∙보궐선거의 정치적 비중 차이가 투표율과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