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북아프리카의 민주화 흐름에 대한 경험적 해석: 경제발전, 반부패, 세계화, 정부형태, 문화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이라는 주제 하에 공간적 범주로서 (북)아프리카 국가들을, 시간적 범주로서 최근 상황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각종 정치폭력 시각에서 프리덤하우스의 민주화지수 혹은 자유도, 세계은행의 1인당 국민총소득과 국민소득불평등지수, 국 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지지수, 스위스 쮜리히 연방공대의 기업 연구소의 세계화지수, 정부형태, 그리고 성인문자해독률과 주요 종교를 포함하는 문화수준을 토대로 연구의제에 접근한다. 이 연구는 북아프리카의 민주화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면서 아프리카 민주화의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전망을 함에 있어 경제수준, 부패상황, 세계화수준, 정부형태 및 문화수준을 경험 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s among democratization, economic development, anti-corruption, globalization, government types, and cultural backgrounds in Africa. It supports the argument that transparency is highly related to democratization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in the future of Africa. African countries are facing serious problems of corruption and economic underdevelopment. Their success and failure of building up democratic regimes in Africa will hinge on transparency and economic development.
Ⅰ. 서론: 북아프리카 민주화의 경험적 해석에 대하여
Ⅱ. 개념의 이해와 측정: 민주화, 경제수준, 부패, 세계화,정부형태, 문화수준
Ⅲ. (북)아프리카의 민주화 요구와 민주화수준∙경제수준∙반부패∙세계화의 연관성
Ⅳ. (북)아프리카의 민주화 요구와 정부형태∙문화수준의 연관성
Ⅳ. 결론: (북)아프리카 민주화에 관한 경험적 해석의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