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292.jpg
KCI등재 학술저널

변환외교의 논리: 또는 미국적 현실주의의 변명

  • 156

이 글은 미국의 제2기 부시정부에서 라이스 국무장관이 추진한 변환외교의 논리와 성과를 검토한다. 라이스의 변환외교는 부시의 자유의 확산을 이념적 틀로 하고, 체니와 럼스펠드가 주도하는 대테러전쟁과 이라크 정책의 실패 속에서, 9/11 테러 이후 실패국가의 안보위협에 대한 대응을 모색한 것으로, 그 기본 논리는 미국이 원하는 통치를 위해 주권을 자발적으로 제한하는‘조직적 위선’으로서의 파트너십이었다. 민주주의의 확산을 위한 “대담한 외교”로 출범한 변환외교는 그 탄생선언 직후 팔레스타인 선거에서 반미세력 하마스의 승리와 이라크 종파갈등의 격화란 재난을 겪으면서, 또한 안보, 민주주의, 개발과 외교의 논리가 관료정치의 현장에서 상호충돌하면서, 인간의 오류 및 이상과 이익의 긴장을 인정하는 미국적 현실주 의의 변명으로 후퇴했다.

In its second term, the Bush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launched transformational diplomacy as “bold diplomacy”for expansion of freedom through partnership. This article unravels its diverse‘ streams’of democracy, defense, development, and diplomacy; and identifies its key foundation of partnership as“ organized hypocrisy”to deal with the security threats of failed states. This article also traces how transformational diplomacy as “bold diplomacy”had retreated into American realism (recognizing human fallacies and conflicts between American ideals and immediate interests) amid the failures and bureaucratic bickering of its diverse‘ streams.’

Ⅰ. 문제제기

Ⅱ. 9/11 테러와 위선의 책략

Ⅲ. 이라크 전쟁과“대담한 외교”의 운명

Ⅳ.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