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293.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혁적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청년기 이승만의 독립정신

  • 124

이 글은 이승만이 사회진화론과 조우하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사회진화론이 유교적 가치가 결합될 때는 조선의 장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가능해지는 반면에 기독교적 신념에 역점을 둘 때는 비관적 전망이 제시될 가능성이 높다는 기존의 가설을 반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승만(承晩, 1875~1965)은 1890년대 후반에 배재학당과 한성감옥에서 미국인 선교사들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기독교로 개종했고, 미국식 사회진화론을 받아들였다. 이승만이 수용한 사회진화론은 미국적이고 기독교적인 색채가 강했지만, 그는 그로 인해 조선의 장래를 비관하지 않았다. 이승만의 세계관이 개혁적 사회진화론으로 수렴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의 지적 전향이다. 이 글에서는 이승만의 지적 전향이 보여주는 단절성과 연속성에 주목하여 서당에서의 유교 교육, 배재학당에서의 자유주의 교육, 그리고 감옥에서의 기독교 개종과 사회진화론 수용과정을 검토함으로써 그의 낙관적 진보관이 제시하는 독립정신의 의미를 평가하고자 한다.

The existing hypothesis on social Darwinism of Korea is that; when social Darwinism encounters Confucian values the future prospect of Korea can be optimistic, whereas when it meets Christian belief the future prospect of Korea can be pessimis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prove the existing hypothesis on Korean social Darwinism. Syngman Rhee converted to Christianity at Paichai School and Hansung prison in late 1890’s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American missionaries and he accepted American-style social Darwinism there. Although the social Darwinism that he accepted was strongly tinged with American Christianity, he was not discouraged with the future of Korea. The most conspicuous characteristic when Rhee’s weltanschauung converged into reform Darwinism is his intellectual turning from Confucianism to Christianity. This paper evaluates the meaning of his spirit of Independence which was derived from his optimistic progressivism by scrutinizing his Confucian learning, liberal education in Paichai School, and conversion to Christianity and acceptance of social Darwinism in Hansung prison.

Ⅰ. 서 론

Ⅱ. 제국의 후예: 페이소스(pathos)를 품은 경계인

Ⅲ. 배재학당 입학과 세계관의 전향: 자유와 진보를 향한 제1보

Ⅳ. 감옥학교의 경험: 기독교적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독립정신의 형성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