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매니페스토는 보다 높은 수준의 대의민주주의를 정착시키기 위한 정치개혁 운동의 일환으로 등장되어 이해되어져왔다. 그러나 각 정당이 선거 때마다 유권자들에게 제시하는 매니페스토는 정치적 문건(political text)으로서 매우 중요한 학술적 의의 또한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의 정치학계에서 매니페스토가 지니고 있는 학술적 의의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본격적으로 제시되기 시작한 한국의 매니페스토가 어떠한 학술적 의의를 지니고 있는지를 논하는 것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서구 정치학계에서 매니페스토가 어떤 방식으로 측정되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소개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한국의 매니페스토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Since its inception, manifesto in Korea has been understood only as a tool for political reforms to consolidate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However, manifestos proposed by political parties in elections could be much more than this: they are important political texts which contain invaluable informations on diverse aspects of Korean politics. Nonetheless, this kind of trait of manifestos has received much less scholarly attention 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than it deser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delve into the ways of using manifestos academically.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ntroduces how the learned circles of western political scientists measure manifestos and where they apply the measured data. In addition, it suggests the possibl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manifestos in Korea.
Ⅰ. 서 론
Ⅱ. 매니페스토 측정방법: 내용분석
Ⅲ. 매니페스토 측정지표의 개발
Ⅳ. 매니페스토 데이터의 정치학적 활용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