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폐암환자의 Chest PA 촬영조건에 따른 화질과 피폭선량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image quality and exposure dose according to Chest PA projection conditions of lung cancer patients

  • 50
커버이미지 없음

폐암환자에 대한 흉부후전방향 촬영시 관전압과 관전류를 변화할 수 있는 수동노출제어방식에서 신호대잡음비, 대조도대잡음비, 영상평가와 피폭선량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폐암환자의 적정노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검사장비로는 Digital Diagnost과 흉부 팬텀 이용하여 검사조건에 따른 신호대잡음비, 대조도대잡음비, 유효 선량, 영상평가를 알아보았다. 적정 관전압과 관전류를 제시해 보면 100 kVp 2.5 mAs 조건으로 검사시 자동 노출제어방식에 비해 유효선량측면에서는 0.011 mSv 감소할 수 있고, 영상평가 점수측면에서는 0.51점 감소하기는 하지만 폐암 환자 종괴의 구분과 폐첨부, 심장, 흉추, 늑골의 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호대잡음비, 대조도대잡음비의 감소는 향후 검출기 특성에 대한 연구가 더욱더 진행된다면 저 선량으로도 영상의 질이 높은 영상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compared the SNR, CNR, Image evaluation, and Effect dose in the MEC mode, which can change the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to examine the proper exposure of the lung cancer patient in chest P-A projection for lung cancer patients. SNR, CNR, effective dose, and image evaluation according to test conditions were examined using Digital Diagnost and Chest phantom. In the case of 100 kVp 2.5 mAs condition, it can be reduced by 0.011 mSv in terms of effective dose compared to AEC mode and 0.51 in image evaluation score. However, Thoracic spine, and rib were diagnosed. However, the reduction of SNR and CNR is expected to result in images with high image quality even at low doses if research on detector characteristics is further advanced.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Ⅵ.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