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다자안보협력(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에 대한 러시아의 구상은 크게 세 시기, 즉 제정 러시아 시기, 소련 시기, 러시아 연방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시기마다 제안된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구상은 러시아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이해관계를 반영한 것이었다. 제정 러시아 시기 동방주의자들에 의해 제안된 동북아 안보협력 구상은 황제 니콜라이 2세의 퍼스낼리티와 매파의 득세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소련시기 일방적으로 제안된 아시아다자안보체제의 구상은 아시아 국가들이 중ㆍ소 분쟁에 연루되기를 꺼려했을 뿐만 아니라 소련의 붕괴로 실현될 수 없었다. 러시아 연방시대 들어서 제안되어 온 동북아다자안보협력 구상은 소련시대와 달리 일방적인 제안이 아니라 외교적 접촉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양자성 내지는 다자성을 지니고 있었기에 아시아 국가들에 의해 수용되어 지기도 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구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그 동안 제약 요인이었던 외교상에서의 소극적 추진력 문제가 극복되어야 하며,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정책이 외교정책에서 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 나아가 러시아는 군비증강이나 무기수출외교와 같은 반다자주의적 행위를 삼가면서 확고한 외교적 의지를 가지고 평화정책을 추진함으로써 평화 국가로서의 이미지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We can analyze the Russian schemes as to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in terms of three periods, namely that of Tsarist Russia, USSR, and Russian Federation. The Russian scheme in each period respectively reflected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interests of Russia. The scheme proposed by the Easterners in the Tsarist Russia could not be materialized due to the personality of Emperor Nikolai II and the hegemony of the hawks. The USSR Scheme, unilaterally issued, did not come into effect because Asian countries were reluctant to get involved in the Sino-Soviet disputes, and USSR eventually collapsed. Concerning the scheme of the Russian Federation, howev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s that, unlike the USSR version, it has bilaterality and multilaterality so that Asian countries often accepted i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however, it should meet these two conditions: the passivity of the Russian diplomacy has to be overcome, and the priority has to be set on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Further, Russia has to establish its image as a peaceful country by firmly pursuing peace policy and giving up such anti-multilateral activities as armament and export of weapons.
Ⅰ. 서론
Ⅱ.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에 관한 러시아의 구상
Ⅲ.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러시아의 이해관계
Ⅳ.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추진과정에서의 제약요인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