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냉수리비와 봉평리비의 단락구성과 서사구조를 고찰한 것이다. 두비문의 서사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했는데, 敎[別敎]의 議決[判示], 敎의 執行, 敎의 告知 등 세 단락으로 구성되었다. 이 가운데 敎의 의결은 왕경의 정청에서 이루어졌는데, 왕을 비롯한 왕경 6부의 유력자가 담당했다. 敎의 執行과 告知는 비석을 건립한 현지에서 이루어졌는데, 敎의 집행은 중앙에서 파견된 실무자가 수행했고, 현지인에 대한 敎의 고지는 현지 유력자가 담당했다. 냉수리비의 경우, 중앙에서 파견된 典事人이 敎를 집행하면서 敎의 의결내용을 현지인에게 직접 布告하지 않고 하늘을 향해 아뢰었다. 이로 인해 현지 유력 자가 별도로 현지인에게 敎의 의결내용을 告知했는데, 두 비석 말미의 ‘世中了事 [世中子]’는 이를 뜻한다. 이로 보아 봉평리비의 경우에도 중앙에서 파견된 處事 大人이 敎의 의결내용을 하늘을 향해 아뢰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냉수리비와 봉평리비의 서사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양상을 띤다. 물론 각 단락의 문단구성이나 기술내용은 조금씩 다른데, 비석의 성격 차이나 시기적 변화에 따른 차이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두 비석의 동일한 서사구조를 통해 6부인들이 공유하던 지배이념을 추출하고, 나아가 두 비석의 차이점을 통해 지배이념의 변모양상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paragraph composition and narrative structure of Naengsuri Stone Monument and Bongpyeongri Stone Monument in the Silla Period. Through th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wo epitaphs were essentially the same. Both epitaphs consisted of three paragraphs : decision, execution, and notice of command. Among them, decision of command was made at the court of the Capital, and the commanders of six political units called ‘Bu(部)’, including the king, were in charge. The execution and notice of command were carried out on the area where the stone monument was constructed. Among both, the execution of command was carried out by a central dispatched worker, and the notice of command to the local people was carried out by a local author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aengsuri Stone Monument, the central dispatched worker called ‘JeonSa-Man(典事人)’ spoke the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rather than directly to the local people. As a result, a local authority separately informed the local people of the command’s contents, the phrase SeJungRyoSa(世中了 事) at the end of the two epitaphs means this. So as, in the case of Bongpyeongri Stone Monumen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entral dispatched worker called ‘CheoSa-Big man(處事大人)’ spoke the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As such, the narrative structure of both stone monuments is basically the same. Of course, the paragraph composition and descript contents of each stone monument is slightly different, which is understood to b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ure of the stone monument and the timing changes. Therefore, analysis of the same writing structure of both stone monuments could extract the ruling ideology shared by the six political units through. Further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both stone monuments could extract the change of ruling ideology.
1. 머리말
2. 냉수리비의 단락구성과 서사구조
1) 냉수리비의 단락구분 기준
2) 敎의 議決 단락의 문단구성
3) 敎의 執行과 告知 절차
3. 봉평리비의 단락구성과 서사구조
1) 봉평리비의 단락구분 기준
2) 敎의 議決과 執行 단락의 문단구성
3) 警告와 敎의 告知 단락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