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330.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의 사이버 외교 - 온라인상에서의 친북단체들의 활동

  • 15

최근 북한의 외교는 과거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제한적이나마 참여하려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북한의 변화하지 않으려는 폐쇄성은 이웃 국가들에게 여전히 위협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북한의 모순된 외교행태는 핵 문제등과 연결되어 서구에서 활발한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 세계에서 인터넷과 웹사이트를 통해 북한체제를 선전하려는 북한의 시도와 전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은 사이버 상에서 북한의 행태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하나는 네티즌의 인식을 구체화하려는 북한의 노력, 그리고 다른 하나는 분산되어 있는 북한 체제 동조자들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한국정부의 기무사에 의해 공식적으로 확인된 최근 보도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해킹부대를 통해서 남한의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북한 안팎에서 34개의 친북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이버 상의 북한의 정보 캠페인에 대한 분석은 시기 적절한 연구로 보인다. 이 연구는 모두 인터넷 상에서 공개된 자료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분석대상으로 13개의 사이트를 조사하였고 한국 군 당국에서 발표한 34개의 사이트 중 중복되는 것과 정보가 부족한 것은 제외되었다. 인터넷이 본질적으로 역동적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 또한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역시 순간적이며 단편적인 묘사일 수밖에 없는 한계점을 내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이 다른 연구자들로 하여금 북한의 실질적인 정보 캠페인뿐만 아니라 이것이 보여주고 있는 정보 인프라와 내용의 변화를 분석하고 기록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Observing DPRK’s activities in this relatively new medium for international relations reveals both the emergence of North Korea s traditional, hard/soft bifurcation in foreign policy, and some interesting patterns behind the virtual structure of its information campaign. This paper evaluates DPRK actions in the context of cyber space as the “information battle space” in a struggle to both shape the perceptions of the netizen,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a dispersed group of DPRK sympathizers. In doing so, this paper limits itself to the content of the websites, patterns of hosting, usage, and relationship between sites, and some resulting implications. It does not assess options for “hot”information wafare, i.e., of electronic/digital disruption, deception, denial, or destruction, or explore how the DPRK might engage(or be engaged) in such activiti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ternet is inherently dynamic, and this report is, despite best efforts, merely a momentary snapshot. With the press of a button, the editors of these websites could modify, delete, or add content, or dramatically change the r디ationship between sites(for example, by linking to an Iranian site, or by deleting all mention of DPRK-Iran diplomatic relations.) However it is only by the systemic exploration and capture of moment-to-moment relationship and content on the Internet that such change can be detected. The author hopes that this effort will inspire others to record and analyze not only the content of the DPRK’s virtual information campaigns, but the changing context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within which it is presented.

Ⅰ. 서론

Ⅱ. 북한의 사이버 홍보 전략의 개요

Ⅲ. 전략적 구상에 의한 사이버홍보

Ⅳ.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