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호텔직원이 지각한 Workplace fun, 브랜드 몰입, 브랜드 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fun, Brand Commitment, Brand Citizenship Behavior of Hotel Employe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 142
146423.jpg

본 연구는 호텔직원이 지각한 Workplace fun, 브랜드 몰입, 브랜드 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려고 한다. 로컬호텔 4곳과 그 외 체인호텔 2곳의 직원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 조사기간은 2018년 6월 2일부터 2018년 7월 15일까지 약 한달 간 실시되었으며 총 290부의 설문지 중 211부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orkplace fun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브랜드 몰입 및 브랜드 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몰입은 브랜드 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다음과 같다. Workplace fun과 브랜드 몰입간의 관계에서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만족을 매개로 한 간접경로가 유의함에 따라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orkplace fun과 브랜드 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만족을 매개로 한 간접경로가 유의함에 따라 완전매개역 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적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호텔 조직은 직원에게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둘째,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제시함에 따라 직원과의 직무 상담을 통하여 적합한 직무를 배치 해 주어야 한다. 셋째, 긍정적인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 직원이 원하는 조직 환경을 조성하여 직원이 기업에 남아있으려는 의지를 높여주어야 한다. 이론적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Workplace fun과 브랜드간의 관계를 새롭게 탐색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내부 및 외부고객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몰입 및 브랜드 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봄으로써 기존연구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otel employees workplace fun, job satisfaction, brand commitment, and brand citizenship behavior. We sampled four local hotels and two other chain hotels of employees.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 2018 to July 15, 2018 about one month, and 211 out of the 29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hypothesis test result is as follows. First, Workplace fun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Commitment, and Brand Citizenship Behavior. Third, Brand Commitment has positive(+) effect on Brand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is as follow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fun and Brand Commitment, the direct path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path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at means Job Satisfaction is fully mediated. Moreo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fun and Brand Citizenship Behavior, the direct path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path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at means Job Satisfaction is fully mediate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hotel should create a pleasant atmosphere for their employees. Second, as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is suggested, appropriate job placement should be arranged through job consultation with employees. Third, in order to build a positive brand, the hotel needs to create a desired organizational environment to increase employees’ willingness to stay in the compan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fun and brand was newly searched. In addition, the scope of existing research has expanded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rand(brand commitment and brand citizenship behavior), which affects both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