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431.jpg
KCI등재 학술저널

관람객의 기대감이 미술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xpectation of visitors on the intention to visit the museum

DOI : 10.52564/JAMP.2018.48.137
  • 754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예술 부흥 정책, 문화예술진흥법 등과 같은 제도적 지원으로 인해 국민의 문화예술 인식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 의해 문화예술 관련 기반 시설들이 꾸준히 건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술관은 단순히 전시, 교육, 작품 수장 등과 같은 전통적인 콘텐츠를 대중에게 공급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관람객과 함께 지식을 공유하고, 체험을 통해 소통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람자가 미술관으로 부터 어떤 경험을 기대하는지, 어떤 서비스 만족을 기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기대감이 향후 미술관 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정서적 기대감이 실용 적 기대감에 비해 미술관 관람의도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술 또는 예술은 이성보다는 감성적인 측면이 더 강한 분야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며 현재 대중이 가지고 있는 미술의 인식 또한 지식과 실용적인 욕구 충족 보다는 감 성적이고 정서적인 욕구 충족의 기제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문화예술, 특히 미술과 같이 추상적이고 정서적인 측면이 강한 분야에서의 정책수립과 경영에서는 대중의 정서적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인의 감성적 측면을 더 심도 있게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level of people’s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 has been on the rise in Korea, backed up by th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culture and art promotion policies and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In line with this social atmosphere, culture and art related infrastructures have been built continuously. Art galleries are shifting towards sharing knowledge and communicating experience with the public away from simply providing their contents in a traditional way such as displays, educations and art collect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wha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 the public expects from art galleries and in turn how this expectation affects their intention of watching.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emotional expectation had a bigger effect on the public’s intention of watching than practical expecta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rt is more about emotion than reason inherently and therefore, the public perceives art as a means of satisfying emotional and sentimental desires rather than satisfying practical desires for knowledge. Accordingly, individuals’ emotional aspects should be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in order to fulfill the public’s sentimental expectation in designing and managing a policy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especially visual arts, which have strong abstract and emotional aspects.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모형 및 자료

IV. 실증분석 결과

V.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