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253.jpg
KCI등재 학술저널

독일의 손님노동자, 그들의 문제와 해결 방식

- 한국 여성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 30

국경을 넘어 고용된 이주노동자들은 국민국가 내의 노동자들과는 다른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노동자로서의 정체성 이외에 경제적, 인종적, 문화적, 측면에서 또 고유한 정체성을 갖고 있으며 이는 또 강요되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로 이주노동을 갔던 한인여성노동자 역시 그러하다. 그동안 한인이주노동자들은 경제적 기여와 관련되거나 한인의 해외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주로 연구되었고 그들의 노동자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부족하였다. 그런 이유에서 본고에서는 한인 이주노동자들의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그들의 노동조건과 상황의 개선을 위한 노력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독일의 터키노동자나 여성이주노동자들의 파업 등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한인노동자들은 집단적 정체성을 만들고 의식을 공유할 조건에 있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집단적 의식공유와 행동의 연대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던 한인노동자에게서 노동자로서의 행동이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며 서 광부들은 여러번에 걸친 노동쟁의는 이를 반증한다. 이에 비하여 간호노동자였던 여성들은 고용 및 체류조건의 고유성으로 인하여 개인적 분노표출이나 이주에 개입했던 개인들을 통하여 문제를 드러내는 정도에 그쳤다. 하지만 일정한 시간을 경과하면서 자신들의 노동자로서의 상황에 대한 의식을 교류를 통해서 공유하고 문제를 공개화 할 수 있는 조건들을 갖추어갔다. 그리고 결국 체류권 투쟁을 통하여 독일 내에서 체류의 문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게 된다.

Immigrating workers employed beyond their country,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than its native workers. It is because, along with their identical issue for a worker, they also have their own identity in terms of economical, racial and cultural aspect, being forced. Korean women workers immigrated to Germany also experienced that. So far, Korean immigrating workers have been studied related to economical contribution or from an aspect of foreign diaspora. The interest for their labor-characteristic was so insufficient. For those reasons, this report examined identity of Korean immigrating workers for a worker based on efforts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 and situation. Compared with strikes from Turkish workers or women workers in Germany, Korean workers were not in situation making collective identity or sharing their consciousness. For Korean workers relatively having insufficient opportunities for sharing their consciousness or connecting their actions, there were only a few actions for a worker, and several succeeded strikes of miners can prove this. On the other hand, due to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stay condition, women, mostly nurse workers, just expressed their anger individually or appealed their problems through some people intervening their immigration. After that, they have made some conditions sharing their situation for workers among interactions and making public their problems. Finally, struggling for their stay right, they made institutional strategy for determining stay related problems by their own in Germany.

Ⅰ. 머리말

Ⅱ. 독일의 이주노동자의 역사와 노동쟁의, 그리고 한국인 이주노동자

Ⅲ. 독일 한인 이주여성노동자 권리 찾기 움직임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