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코스닥 기업의 내부통제인력이 기업지배구조와 횡령규모의 관련성에 대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표본은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횡령이 발생한 87개 코스닥 등록기업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지배구조와 횡령 규모의 관련성에 대해 내부통제인력의 수는 부분 매개역할을 수행하며, 평균경력월수는 완전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에서는 내부통제인력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로 내부통제부서에 다년간의 경력이 있는 충분한 수의 인력을 배치하여 내부통제업무에 대한 적절한 분담과 학습효과로 횡령이 발생하더라도 그 규모가 축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투자자와 규제기관을 비롯한 기업의 이해관계자에게 기업에서 발생하는 횡령의 규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이나 방안의 모색을 위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s a mediate effect of personnel characteristics in internal accounting control on a rel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and misappropriation scale. Samples are 87 misappropriation firm-years that had been listed KOSDAQ from 2006 to 2011. To be specific, misappropriation scale is measured on the basis of misappropriation amount, and internal accounting control that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Particularly Corporate governance is measured in using an index, which is comprised of the characteristics of ownership structure and outside directors. Corporate governance means firm’s overall control level on a manager in recent researches. This is why CGI is necessary for researchers to measure firm’s governance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otal number and years of experience of personnel in internal accounting control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a rel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misappropriation scale. It means that firms must improve their whole governance level not an partial level to decrease misappropriation scale. It was because of CGI which measured firm’s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level. Besides these contributions, this research suggests the additional way of applying mediating effect to methodology in future financial accounting studies. These results will be used beneficially for policy makers to make a regulations for protecting firm and firm’s interested groups from big scale asset misappropria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