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을 소비하는 것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소비 전략 중 하나이다. 최근 경험 소비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험재 구매(experiential purchase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한편에서는 경험재 범주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비판이 지속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과 범주군을 통한 경험 구매 연구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국내 경험 소비 연구는 대표적인 상품을 통한 연구가 많아 이러한 비판에 취약하며, 다양한 제품군과 범주 분류를 통한 경험 구매 분석은 부족한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개의 상품을 통해 경험재와 물질재 인식과 각 제품군에서의 구매 즐거움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구매 즐거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인들은 물질재 제품과 경험재 제품을 타당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험 구매를 통한 즐거움은 물질 구매를 통한 즐거움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경험재의 구매 즐거움은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에서도 경험 범주에 대한 인식이 타당하게 구분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경험에 대한 구매 즐거움이 행복에 기여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문화와 새로운 제품을 고려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Consuming experience is one of the consumption strategies to pursue happiness. Recently, studies on experiential purchas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understand trends of experience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criticism continues that the boundaries of experiential category are ambiguou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purchasing experience through various product group and categories. But domestic experience consumption research is vulnerable to such criticism because there are many studies through representative product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experience purchasing analysis through various product categories and clas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xperiential products andmaterial products recognition through 20 products. And the difference of purchase pleasure in each product group was analyzed. Also, we examined the effect of purchase pleasure on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Korean people distinguish between material and experiential products. Second, purchase pleasure through experie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purchase pleasure throughmaterial. Finally, the purchase pleasure of experiential produc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of the experience category is properly distinguished in Korea and suggest that the pleasure of purchasing experience contributes to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follow - up studies considering cultures and new productswas discussed.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