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교육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해 ʻ정동 이론ʼ이라 불리는 학제적 담론의 지형과 쟁점을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정동에 대한 동시대 지적 담론의 이론적 흐름과 비판적 쟁점들은 교육학 및 미술교육에서 주로 태도 및 가치로 일괄되던 정의적 영역을 새롭게 접근하고 확장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의미 있는 참조점을 제공한다. 교육의 정의적 영역에서 신체적 감응이나 감각적 반응은 가치 체계의 조직화나 인격화에 종속되는 초 기 단계 정도로 이해되고 있으나, 철학, 사회학, 신경과학 등을 포괄하는 학제적 연구에 힘입은 정동 이론은 정의적 영역의 ʻ정의ʼ 즉 ʻ정동ʼ을 생리심리학적 측면의 감정 및 생명의 힘과 물질적인 강도로 접근한다. 인간에 대한 이해가 이성에서 몸 으로, 인간 중심에서 생명 전체와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대의 정동 이론은 ʻ포스트-코기토ʼ ʻ포스트-휴먼ʼ 시대의 미술교육이 생명의 힘과 강도가 증대되는 ʻ정동 교육ʼ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the complex terrain and critical issues of the recent intellectual discourse called ʻaffect theoryʼ in order to recast the ʻaffective domainʼ of education as designated in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affect theory provides a critical reference for expanding the affective domain of education which has been equated with attitudes and values. Bodily perceptions or sensory responses have been largely positioned as the initial or preliminary stages that should be ultimately subordinated to the organization or personalization of the value system, and such limited definition of affect continues in art education as well a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al curriculum. On the contrary, actively incorporating studies of philosophy, sociology, physiology, and neurosciences, the notion of affect in the affect theory encompasses a wide range of corporeal processes and concepts including not just feelings and emotions but also pre-personal, inhuman ʻintensityʼ and the ʻforceʼ of life. While considering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the turn to affect and its ramifications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in general and education of art in particular, the author of this study also examines critical responses to the affect theory, especially, critiques on the notion of affect as antiintentionalist, pre-subjective, materialist intensity. Based upon a critical reflection of the complex dynamics of affect and affection, that is, the pouvoir of affect and the puissance of being affected, the author stresses the necessity of ʻaffective educationʼ that enhances the power of being affected with joy.
Ⅰ. 들어가며
Ⅱ. 정의적 영역의 이해
Ⅲ. 정동 이론의 이해
Ⅳ. 정동 이론 비판과 정동 교육의 모색
Ⅴ. 글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