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04.jpg
학술저널

해사쟁송절차 개선에 관한 연구

Rethinking the Admiralty Procedure

  • 65

해사사건은 국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고 법률관계가 복잡하다. 또한 선박은 이동성이 있으므로 가압류나 가압류의 해제와 같이 분쟁이 신속하게 해결되어야 하는 측면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양강국으로 평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해양강국인 영국, 중국, 홍콩, 싱가포르 등과 같은 해사쟁송절차에 대한 전문성과 신속성은 부족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해사쟁송절차에 대한 연구는 해사사건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타당한지, 해사사건에 특별한 법원이나 전문재판부의 설치가 필요한지, 해사전문재판부 설립으로 인한 장·단점은 무엇인지 등을 정확하고 공정하게 평가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안목으로 바람직한 사법제도를 위한 정책을 구상해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상당하다. 본 연구는 해사쟁송절차에 대한 이해, 현황에 대한 분석과 영국, 미국, 중국, 싱가포르, 홍콩, 뉴질랜드, 호주, 네덜란드, 파나마 등 해외국가의 해사쟁송절차에 대하여 비교법적 연구를 한 후, 우리나라에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전문화 방안으로는 전문법관, 전문집행관의 확보, 사법연수원을 통한 전문교육, 외부기관과의 협력, 사법정책연구원을 통한 심층연구, 도서관의 관련 데이터베이스 확보 등을 제안하며, 효율화 방안으로는 국제적 기준에 맞는 가압류 절차, 선박충돌절차 규정 개정, 전문 접수관에 의한 사건 관리, 법률서식의 일원화 등을 제안한다. 또한, 사법접근성 강화와 대체분쟁 해결의 활성화도 추진되어야 할 관련 정책으로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법원은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해사법과 해사관련 지식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dmiralty and maritime cases are international and complex in nature. Moreover, cases involve movable ships which consequently require speedy and effective proceedings. While Korea may be viewed as one of the leading maritime nations, it still lacks in its specialty and effectiveness when it comes to the court case proceedings. In this line of context, there is an urgent need to make a neutral evaluation of admiralty proceedings in Korea and to study what we can learn from other leading maritime nations, so that the policy makers may be able to design desirable and sustainable judicial policies for admiralty case proceedings in Korea with an objective view.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practicable solutions to the improvement of admiralty proceedings after thorough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admiralty proceedings in England, the Unites States, China, Singapore, Hong Kong, New Zealand, Australia, the Netherlands, and Panama. In terms of specialization, securing admiralty judges and court martials may be most necessary, attainable by providing high quality training in the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conducting deep research in the Judicial Policy and Research Institute, and building legal database in the Court Library. As for the improvement in speed and effectiveness, rearranging procedural rules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effectively managing cases by designated staff, and providing court application forms are recommended among others. Enhancement of judicial access and promotion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re policies that should also be implemented harmoniously with other policies suggested above. All in all, it is important that the judiciary has the long term vision as well as the short term motivation to contribute to the admiralty law and maritime industries.

제1장 서론

제2장 개관

제3장 해사재판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제4장 해사법원에 대한 도입 논의 현황

제5장 개선방안

제6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