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수준에 따른 노인의 여가참여와 대인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Personal Relations of Seniors According to Perception Level on their Life Satisfaction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재활복지
- 재활복지 제23권 제1호
- : KCI등재
- 2019.03
- 141 - 161 (21 pages)
본 연구는 인지수준에 따른 노인의 여가참여와 대인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광주·전남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MMSE-K를 이용하여 인지수준에 따라 대상자를 구분하여 여가참여, 대인관계, 생활만족도 설문지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인지수준에 따라 노인의 여가참여, 대인관계, 생활만족도를 비교 한 결과 여가참여, 대인관계, 생활만족도의 총점과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대상자의 여가참여와 대인관계,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여가참여, 대인관계, 생활만족도 모두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셋째, 대상자의 인지수준, 여가참여, 대인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수 준, 대인관계, 여가참여 순으로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사회참여 유지와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여가활 동과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련 활동의 수행증진을 위한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personal relations of seniors according to perception level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conducting leisure participation, personal relation, and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 on seniors aged 65 or older in Gwangju, Jeollanam-do according to perception level using MMSE-K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leisure participation, personal rel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eniors according to perception level, the total point and subdomains of leisure participation, personal rela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5).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 correlation between leisure participation, personal rel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research subjects, leisure participation, personal rela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p<.05).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erception level, leisure participation, and personal rel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research subjects, it was identified that they mak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perception level, personal relat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hat can improve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personal relation to maintain social participation an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seniors with declined cognitive function, and to support performance enhancement of related activiti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