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18.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경(茶經)』의 월요(越窯)⋅형요(邢窯) 다완 비교론 분석

Analysis of Comparative Theory of Yue Kiln⋅Xing Kiln Tea Bowls Presented in Cha Ching

DOI : 10.29225/jkts.2019.25.1.1
  • 170

본 연구는 『다경(茶經)』『사지기(四之器』 ‘완’조에 나타난 월요(越窯)⋅형요(邢窯) 다완의 특징을 대비한 광물(鑛物), 설빙(雪氷), 탕색(湯色)이 함의(含意)하는 바를 분석하고, 이러한 다완 비교론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은(銀)과 옥(玉)을 통한 광물 비교이다. 은과 옥은 각각 백자완과 청자완 표면의 유색(釉色)을 의미하며, 옥이 유가(儒家)에서 군자의 덕(德)과 예(禮)를 상징하고, 도가(道家)에서는 영약(靈藥)이자 신물(神物)로 추앙받는 기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고귀한 가치를 청자완에 투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눈과 얼음을 통한 물질 비교이다. 형상이 변하기 쉬운 눈과 단단하고 미끄러운 얼음은 형요와 월요의 도자적 경도(硬度)를 의미하며, 이는 곧 기술적으로 높은 경도와 공예적 세련미를 지닌 월요 청자완이야말로 찻그릇으로서 기능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단(丹)과 녹(綠)을 통한 탕색 비교이다. 단과 녹은 형요완과 월요완에 차를 담았을 때 각각 나타나는 붉은색과 녹색 다탕(茶湯)을 의미한다. 이는 육우(陸羽, 733~804)가 지향한 차 본연의 녹색에 대한 심미적(審美的) 완상(玩賞)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당대 ‘남청북백(南靑北白)’으로 지칭되는 도자(陶瓷), 차그림(茶畵), 그리고 문헌을 종합한 결과, 육우가 다완 비교론을 통해 월요의 우수성을 입증하려고 한 배경에는 『다경(茶經)』을 저술한 8세기라는 시기적 요인이 작용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당대 중기인 8세기는 월요와 형요의 상승곡선이 엇갈리던 전환기로, 형요는 기술이 약화되기 시작했으나 명성이 살아있고, 월요는 새로운 기술적 도약이 시작되었으나 좀 더 신뢰가 필요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육우는 월요 청자완의 우수성을 입증해야만 했던 것이다. 다행히 이후 월요가 ‘비색자(秘色瓷)’로 큰 명성을 얻음으로써 육우의 안목과 혜안은 후세인들에게 회자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mplications of minerals, ice snow, and color of hot tea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Yue kiln and Xing kiln presented in Cha Ching and Sajigi, Four tea utensils, and further examine background and causes of the emergence of the theory of tea bowls comparison. First, it compares minerals by comparing silver with jade. Both minerals refer to polishing colors on the surface of white dishware and blue dishware. Since jade stands for virtue and manner of scholars as defined in Confucianism and mysterious medicine and revered as spiritual object in Taoism, this precious value was found to be reflected in blue dishware. Second, it compares materials by using snow and ice. Transformable snow and solid as well as slippery ice imply ceramic hardness of Xing and Yue kiln, which describes that Yue kiln blue dishware with technically higher hardness, transparent, and craftily clear stylishness serving as an excellent tea ware. Third, it compares colors of hot tea by using red color and green color. Both ingredients refer to red and green hot tea water when brewed in Xing kiln bowl and Yue kiln bowl. This reflects aesthetic appreciation of inherent green color of teas pursued by Lu Yu. Lastly, ceramics, tea illustration, and references referred to as “Namcheongbukbaek”, Blue in south and white in north, showed that the period of the 8th century when Cha Ching was written was potent on the background that Lu Yu attempted to verify the excellent of Yue kiln from the comparison of tea bowls. The middle 8th century was the transitional period when Yue kiln and Xing kiln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success. Since more trusts were needed at that time, he had to demonstrate the excellence of Yue kiln blue dishware. As Yue kiln gained great reputation as “Bisaekja”, mysterious colored ceramics, his outstanding perspective and insight are echoed by descendants.

서 론

본 론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