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55.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학계의 종족 고고학 연구현황과

A Study on the Ethnicity in Korean Archaeology: Overview and Future Research Orientation

  • 241

본고에서 한국 학계 종족 고고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주민의 이주’와 ‘문화 전파’에 의한 설명에반론을제기하고토착인들의계기적인진화와발전에초점을맞추었다. 좀더구체적으로한반도의 종족은 홍적세이래거주하고있던구석기인들이중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를 지나면서 독자적으로 형성 진화하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과거 한국에는 ‘구석기시대’는물론이고 ‘청동기시대’도존재하지않았으나 우리나라고고학의성장과발전에 의해 이제 이 학설들은 더 이상 수용되지 않는다.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확인된 구석기시대 유적은 ‘1000’곳이 넘는다. 이렇게 많은 구석기 유적이 있었다는 것은 이미 한반도에 많은 구석기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간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주민 구성을 논함에 있어서 ‘고 아시아족(Palaeo-Asiatics)’ 혹은 ‘고 시베리아족(Palaeo-Siberians)’이남으로 이주하여 온것이라는것이대세였다. 그러나 그동안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시베리아에서 이주해 왔다고 주장하는 것 보다 훨씬 이른 시기의 신석기시대 유적이 많이 발견되었다. 다른 한편, 고조선을 수립한 청동기시대 주민들은 요서나 요동지방에서이주해 온 ‘예맥(濊貊)’족이라는 설이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럴 경우 한반도에서 발굴조사 된 신석기시대 유적에 거주하였던 주민들은 부지불식간에 간과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선진(先秦) 문헌에 예맥이 등장하며 이들이 우리 종족의 일부를 이루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그간 확인된 많은 수의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의 유적을 고려하면 구석기시대 이래 한반도에 거주하였던 토착주민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진화하였을 것이라는 측면에 주의와 관심을가져야한다는점을 강조하였다. 또일부유물과 유구에보이는공통적인속성을 거론하여 종족의 동일성을 주장하는 것도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local indigenous peoples’ independent development from Palaeolithic to the Bronze Ages in prehistoric Korea. This paper argues that ‘migration’ and ‘diffusion’ should be reconsidered as primary factors to explain the formation of ethnicity in prehistoric Korea. In Korean archaeology, Palaeolithic did not exist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1960s. In addition, the Bronze Age was not recognized by the majority of scholars until the second-half of the 1970s either. The rapid growth of Korean archae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accept the presence of the two ages. Over one thousand Palaeolithic archaeological sit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Korean peninsula so far. This indicates that a great number of Palaeolithic people lived in the Korean peninsular during that time period. When Korean archaeologists were discussing about the composition of ethnicity during the Neolithic, ‘Palaeo-Asiatics’ or ‘Palaeo-Sibeirans’ were considered to have migrated into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Maritime region.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s conducted in Korea so far, however, a number of Neolithic sites turned out to be much earlier than the sites assumed to have had been formed by immigrants from either Siberia or the Maritime regions.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Bronze Age people who may have founded Gojoseon(古朝鮮) were ‘Yemaek(濊貊)’ who were allegedly immigrants from Liaoshi(遼西) or Liaodong(遼東) regions. This paper pointes out that if that is the case, archaeologists ar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gnoring the indigenous people who had lived in the Neolithic sites that have been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so far. Yemaek, one of the ethnic groups, appears in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compiled before Jin(秦) Dynasty and they may be an ethnic group of early Koreans. Considering a number of both Neolithic and Bronze Age archaeological sites which have been identified so far in Korea,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ies that the indigenous peoples who had been inhabited in the Korean Peninsula may have developed over time. This is the focal point of this paper and I emphasized that we have to pay a close attention to that aspect. I also brought up the issue that we have to be very careful not to determine the same ethnicity based on the superficial observation about the similarities in artifacts and features between one group of people and the other.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우리나라 종족 고고학 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

Ⅲ. 한반도 종족 고고학 연구의 현황 : 구석기 및 신석기시대 주민에 대한 검토

Ⅳ. 토착인들의 계기적 발전 : 한반도 중석기문화의 존재 가능성

Ⅴ. 고찰 및 과제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