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55.jpg
KCI등재 학술저널

世宗市 百濟 雲住山城의 築造와 運用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Baekje Unju Mountain Fortress in Sejong City

  • 84

세종시를 포함하여, 세종시를 둘러싼 천안 목천이나 청주 문의 등은 土質이 좋은 곡창이다. 또 목천은 전근대사회에서 전략 자원이라 할 수 있는 鐵과 함께 牛 馬가 많이 산출되던 곳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전의 지역의 토산으로 鐵을 언급하면서 鐵場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즉 전의 전동 지역은, 주변의 곡창과 함께, 철 소 말 등 생산과 군사 전략 자원이 풍부한 곳이었다. 아울러 전의 전동 지역은 공주 부여와 교통로 작전선 상에서 직접 연결 되는 곳이다. 이러한 점이 운주산성의 입지와 축조 운용 문제를 검토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조선시대 여러 地理志를 검토한 결과, 조선 중기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편찬될 당시 지금의 雲住山은 高山으로, 雲住山城은 高山山城으로 명명되었다. 그 후 18세기 후반의 여지도서 에서는 고산이 雲注山으로, 고산산성이 雲注山城으로 개칭되었다. 여지도서 의 雲注山 雲注山城이 지금의 雲住山 雲住山城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중엽에 편찬된 대동지지 는 지금의 금성산을 운주산으로, 지금의 李城과 金伊城(金城山城)을 각각 운주산북성과 운주산남성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아마 전의 전동 지역 현지에서는 당시까지 여전히 금성산을 운주산으로 관념하였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운주산성은 일부 조사된 성벽의 축조 방식에 의해 그 축조 국가를 확정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운주산성 출토 백제 토기편이나 기와편에 주목하였다. 특히 일정한 크기의 성돌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이루어진 축성은 백제 중앙의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 內城 수습 백제 기와편에 주목하여 운주산성의 축조는 백제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삼국사기 를 참고하여 운주산성은 백제 무왕 때인 630년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가 신라나 고구려의 침공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출로 축성한 것이라 추정하였다. 즉, 운주산성은 백제 무왕 때 웅진에 대한 방어를 강화함으로써 사비 도성을 보호하고자하는 군사적 측면에서 축조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때 높은 산에 입지한 운주산성은 공주 부여 지역으로 진군하고자 하는 신라나 고구려의 군사적 압력에 대하여 대규모 산성의 존재를 과시함으로써 적의 예봉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백제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 본다. 또 운주산성의 내성에는, 지금의 西門과 연관하여, 산성 전체를 지휘하는 지휘부 건물이 입지했을 것이라 추정해 보았다.

Including Sejong City(世宗市), Choenan Mokchoen(天安木川) and Cheongju Moonui(淸州文義) and others surrounding the city have good soil quality. Also, Mokchoen is the place where iron, cattles, and horses that can be used as a battle resource are produced abundantly. In addition, iron was a regional speciality in Jeonui(全義), and there is a record that the region had an iron field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朝鮮時代). In other words, Jeonui Jeondong(全東) Area was surrounded by granary zone, moreover, there were plenty of military strategic resources such as iron, cattles, and horses. Besides, Jeonui Jeondong Area was the region directly connected to Gongju(公州) Buyeo(扶餘) as a traffic route and lines of military operations. These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viewing the location, foundation, and operation of Unju Mountain fortress. Meanwhile, investigating multiple geographies of Joseon Dynasty, Unju Mountain and Unju Mountain fortress were named as Go Mountain(高山) and Go Mountain fortress(高山 山城) according to Shinjeung Donggukyeojiseo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 in the mid- Joseon. Then, according to Yeojidoseo( 輿地圖書 )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Go Mountain and Go Mountain fortress were renamed Unju Mountain(雲注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雲注山城). Unju Mountain(雲注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雲注山城), mentioned in Yeojidoseo, is the Unju Mountain(雲住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 (雲住山城) we know in the present. Even so, Daedongjiji( 大東地志 ), compile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clarified the currently called Geumseong Mountain(金城山) as Unju Mountain(雲住山), and named Yiseong(李城) and Geumseong Mountain fortress(金城山城) as North Unju Mountain and South Unju Mountain fortress each. This is probably resulted from the idea in Jeonui Jeondong Area themselves that Geumseong Mountain is Unju Mountain. There is difficulty to ascertain the construction country of Unju Mountain fortress only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rtress wall which was partially investigated. Therefore, in this article, attention is paid to the several buildings and roof tiles excavated at Unju Mountain fortress. Particularly, it is understood that using a certain size of bricks for a fortres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main technology, and focusing on the pieces of roof tile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inner fortress(內城), the construction of Unju Mountain fortress is based on Baekje(百濟). Also, considering the record of Samguksaki( 三國史記 ), Unju Mountain fortress was built during the time of King Moo(武王) in about 630 to express the intention to shield from the invasion of Goguryeo and Shilla beforehand.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Unju Mountain fortress was built for the military purpose to protect the capital city Sabi(泗沘) by strengthening the defense ability of Woongjin(熊津) in the period of King Moo. Unju Mountain fortress, located on a high mountain, is regarded as a reflection of purpose of Beakje that the massive fortress, showing off the existence itself against the military force of Silla and Goguryeo trying to march on Gongju Buyeo Area, would block the enemy s sharp attack in advanc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control tower which commanded the whole fortress was located inner fortress.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文獻에 보이는 雲住山城

Ⅲ. 雲住山城의 調査 現況

Ⅳ. 雲住山城의 築造와 運用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