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chool Leadership Succession and the Sustainability of Innovative School

  • 135
146754.jpg

리더십의 승계는 조직의 생애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사건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학교 혁신을 지속하는 데 있어 리더십 승계 문제는 가장 중심이 되는 도전이기도 하다. 그런데 학교 맥락에서의 리더십 승계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승계 연구들과 창업자 승계 연구들을 개념적 분석틀로 한 혁신적인 초등학교에서의 리더십 승계를 질적 사례 연구 기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학교에서는 리더십 승계를 사전에 계획하여 효과적으로 추진하지 못했다. 둘째, 이로 인해 리더십 승계의 유형은 계획되지 않은 연속성(unplanned continuity)의 양상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계획되지 않은 갑작스러운 승계로 인한 소용돌이는 기존 권력 관계의 근본적 재편 과정을 야기하여 역설적이게도 분산적 리더십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혁신의 지속성에 기여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그간 연구가 일천한 혁신적인 학교에서의 리더십 승계를 둘러싼 역동적인 과정을 실증적으로 조명하고, 리더십 승계가 혁신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교육 조직 영역에 창업자 승계라는 새로운 관점과 분석틀을 적용하여 재해석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는 데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Leadership succession is a critical life in the life of organizatio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in the life of innovative schools is a change in its leadership. Yet, few things in educational leadership succeed less than leadership succession. In this article, emplo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I address the issue of principal succession at an innovative elementary school in a rural city in South Korea. It draws on leadership succession literature combined with founder succession studies to reveal how the succession unfolds over time. The results show that the school failed to deliberately plan for leadership succession. Second. therefore, the type of leadership succession at the school studied is unplanned continuity’(Hargreaves, 2005). Finally, the disruptive turmoil triggered by the abrupt departure of the founding principal and the accompanying conflicts among the founding teacher leaders inadvertently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innovative school over time by redistributing the existing power relation into more distributed leadership.

Ⅰ. 서론

Ⅱ. 이론적 분석틀

Ⅲ. 연구방법

Ⅳ. 밝은별초의 리더십 승계

Ⅴ. 논의와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