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는 지식의 영역을 물자체가 아닌 감각경험의 대상인 현상에 국한시킴으로써 회의적인 경험론의 비판과 독단적인 합리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성을 모든 지식과 형이상학의 명백하고 초월적인 토대로 유지시킨다. 하지만 헤르더에 따르면 칸트는 언어의 인지 기능을 부정하고 이성과 언어와 불가분의 관계를 간과한다. 이성은 구체적인 정황 속에 자리하는 언어와 항상 결부됨으로써 칸트의 주장처럼 경험을 초월하여 보편적일 수 없다는 것이다. 하만은 언어가 근본적으로 애매하기 때문에 선험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 분석적 판단과 종합적 판단 사이의 명백한 구분이 불가능하며, 이 구분에 의존하는 순수이성 역시 불가능하고 따라서 이성은 모든 지식의 초월적 토대로 작동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By limiting the scope of knowledge to objects of experience, Kant retains reason as the clear and transcendental basis for knowledge and metaphysics, which escapes not only skeptical materialism but also the dogmatism of rationalism. For Herder, Kant’s notion of reason is problematic because it denies the cognitive function of language and the unseparable relationship of reason with language. Reason then cannot be universal because it involves language situated in concrete given conditions. For Hamman, language’s ambiguity does not admit the strict distinction between a priori and a posteriori, and reason, whose objects consists only in the subject, cannot carry out synthetic judgements and consequently cannot be pure and serve as the basis for all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