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69.jpg
학술저널

채만식 기행문에 나타난 만주지정학과 비협력의 논리

The Logic of Manchuria geopolitics and Non-Cooperation in Chae Man sik Ttravels Essay - Focused on “Gandohang”

  • 93

본고에서는 채만식 만주기행문 「간도행」을 통해 일제말기 제국 협력의 논리와 관련된 감정정치의 서술적 특성, 총력적 체제하 ‘민족’에 대한 사유의 체계를 논의하였다. 기행문은 허구성에 의한 글쓰기보다 작가의 내면이나 사상들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장르적 특성을 갖는다. 이에 기행문이 간접화된 서술양식이 아닌 실제적인 경험을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체의 (무)의식은 보다 정교하게 드러난다. 채만식의 간도기행문에서는 객관적인 서술과 사실에 입각한 여행의 보고 형식을 준수하고, 만주 개척민에 대한 연민을 드러내는 글쓰기의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대일 협력의 지점을 모호하게 한다. 시찰의 일행이었던 이무영, 정인택, 정비석의 기행문은 공통적으로 국가시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양상을 띤다. 채만식은 정인택처럼 간도를 과도한 낭만성으로 전치시키지도 않았고, 황국신민의 왕도낙토, 유토피아로 상상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정비석처럼 동양주의에 몰입되어 대동아 전쟁의 승리를 희구하지도 않는다. 채만식의 기행문은 이민부락, 공동농장의 시찰 지역을 객관적으로 서술하며, 동족 개척민을 연민의 시선으로 묘사함으로써 비협력의 포즈를 위한다. 이러한 경향은 작가의 대일협력에 대한 (무)의식적 반성, 자기검열의 결과였다고도 볼 수 있다. 채만식이 민족의 죄인에서 언급했듯이 제국주의에 대한 협력은 불우한 시대에 있어 불가피한 선택이었고, 협력의 소극적인 행보였다라는 논리는 기행문을 통해 확인 된다. “한정 없이 술술 자꾸만 미끄러져 들어가는 대일협력자의 수렁”에서 정강이까지만 미끄러져 들어간 것, ‘불멸의 고무장화’로 표현되는 작가의 협력에 대한 변명은 간도기행문으로 확인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politics related to the logic of the empire cooperation theory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thought system about the nation under the total war system, through a travel essay called Gandohang by Chae Man sik. A travel essay has a genre characteristic that directly conveys the inner side and ideas of the writer compared to fictional writings. Therefore, the subject 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re more elaborated in that the travel essay describes the actual experiences rather than the indirect narrative style. The essay, Gandohang, reveals the ideological aspect of the Korea Japan cooperation in the lat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visit of Chae Man sik to Gando Province by the invitation of the Manchurian Promotion Committee of the Manchu County. In Chae Man sik s Gando travel essay, the point of Korean cooperation with Japan is made ambiguous while the author follows the objective narrative and factual reporting format of a travel essay and executes the strategy of writing which reveals compassion for the Korean pioneers of Manchurian region. All of the travel essays of Lee Mu yeong, Jung In taek, and Jeong Bi seok, who were also part of the visit team, actively and positively respond to national policies. However, Chae Man sik did not translate Gando with excessive romanticism like Jung In taek, nor did he imagine the royal kingdom of the emperor as a paradise or utopia. Nor was he immersed in orientalism and desired the victory of the Great East Asia War like Jeong Bi seok. Chae Man sik s travel essay objectively describes the area they visited including immigrant villages and communal farms, and portrays the Korean pioneers in the area with compass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 kind of skepticism and self inspection about the Korean cooperation with Japan from the writer s perspective. As mentioned in The Sinners of the Nation, the cooperation with imperialism was an inevitable choice in the time of adversity, and the passive actions of cooperation are confirmed in the travel essays. The sinking of the Japanese collaborators who only sink down without limitation depicts the sinking up to the point of shin and the proof of this could be this travel essay on Gando. The excuse for the writer s cooperation with Japan, expressed as immortal rubber boots, can be said to have been confirmed by his Gando travel essay.

1. 서론

2. 일제말기 만주 지정학과 개척이민의 실체

3. 동요하지 않는 ‘관람객’과 비협력의 논리

4. 시각의 이질성, 과도한 환상에 도취된 동행인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