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교육에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을 다시 생각하다
Rethinking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in Social Welfare Education
- 엄태완(Taewan Eom) 최권호(Kwonho Choi) 채수진(Sujin Chae)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60권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3
- 5 - 35 (31 pages)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이 사회복지학 기초 교과목으로서 자리매김한지 30여년이 지났다. 본 교과목은 사회복지의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방향과 구조를 제시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과 관련한 논의가 매우 제한적으로 이뤄졌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은 첫째, 사회복지 기초교과목으로서의 정체성을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둘째, 실천현장의 적용성과 이론적 지식학습의 균형을 갖는 데 제한적이었고, 셋째, 인간과 환경에 대한 다양하고 통합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넷째, 한국사회의 특수성과 고유성이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비판이 있다. 본 연구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의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1980년대 이후 출판된 122건의 교과서 목차를 분석하고, 교과목 담당 교수 6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3집단 12명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간발달을 중심으로 한 심리학적 경도성에서 벗어나 보다 사회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과 이론을 통합적으로 포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행사> 교과목의 목표, 개요, 내용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over 30 years since HBSE(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has become the basic curriculum of social work education. Although this course should provide the directions and structure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paradigm of social work education, debate on its improvement is limited. HBSE has been criticized for its limitations on; (1)presenting its identity as the basic curriculum of social work education, (2)balancing the applicability of social work field and learning theoretical knowledge; (3)providing diverse, integrated perspective on human and environment; (4)reflecting the originality and the uniqueness of Korea. To deduct improvement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index of 122 textbooks published since 1980s, conducted surveys on the 68 lecturers, and interviewed three focus groups of 12 members. In result, it was needed to range over various viewpoints and theories synthetically to understand Social Environment, rather than to focus on Human Develop psychologicall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 improvement proposal on contents and objectives of HBSE.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