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창의 증진 프로그램 개발 - 창의성과 사회적 의사소통의 균형적 접근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a Social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Creativity Techniques - A Study on the Balanced Approach of Creativity and Social Communication -
본 연구는 창의성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성과 사회적 의사소통의 균형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사회적 창의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문헌 및 선행 연구 고찰이 이루어졌 으며, 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창의성 기법의 선정을 위하여 창의성 전문가 1인의 자문 및 유아교사 5 인의 의견을 통하여 현장견해를 반영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 단계마다 이론 전문가 3인 및 현장 유아교사 5인과의 협의를 수행하여 프로그램의 타당도와 적합성을 검토하고 수정 및 보완하였다. 수정된 프로그램으로 만 5세 유아 14명에게 예비연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내용을 반영 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은 사회적 맥락에서 창의성과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발휘하는 사회적 창의를 갖춘 인재로 성장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 다. 목표는 창의성(확산적사고, 수렴적사고, 지식, 성향, 동기)과 사회적 의사소통능력(경청하기, 감정 조절하기, 자기 생각 느낌 표현하기, 타인 의도 이해하기, 공감과 함께 관심 갖기, 협력하여 해결하기, 사회규칙 지키기)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의성 기법(브레인스토밍, 색다른 용도법, 자유연상법, 스캠퍼, 강제결합법, 육색모자기법, 유추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창의성과 사회적 의사소통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적 창의 균형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교수-학습과정을 3단계 여섯 과정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 social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 to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social communication using creativity technique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on creativity, social communication, creativity techniques, and the NURI Curriculum were reviewed. In selecting creativity techniques employed in the program, this study used on-the-spot opinions of one creativity expert and five preschool teachers. In addition, three experts and five preschool teachers in the child education field were consulted at each stage of the program development to review, revise and supplement the program s validity and suitability. A revised program used to conduct preliminary research on 14 children aged five years and developed the final program reflecting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ese procedures aimed to grow children into talented people with social creativity that demonstrates both creativ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in a social context. The specific goals are to facilitate creativity (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knowledge, character, and motivation) and social communication skills (listening, controlling emotion, expressing feelings, understanding others intentions, sharing feelings, showing interest in others, cooperation for solutions, and abiding by social rules) through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creativity techniques (brainstorming, unusual uses, free association, SCAMPER, forced relationships , six thinking hats, and analogizing) were utilized.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built the social creative balance model, which seeks a balance between creativity and social communic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