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in School Youths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청소년상담연구(학술지)
- 청소년상담연구지 26권 2호
- : KCI등재
- 2018.11
- 163 - 187 (25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3개 중·고등학교 학생 494명으로서, 수집 된 자료는 상관분석,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 학교 급, 여가시간,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라 각 변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으며, 학 교적응에 차이를 보인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교적응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경우 학교적응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고, 기본 심리욕구 충족과 학교적응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에 따라 학교적응 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라 학업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충 족, 학교적응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기본심리욕구의 세 가지 하 위욕구별 매개효과 검증에서, 자율성은 완전매개효과를, 유능감과 관계성은 부분매개효 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in school Youths.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494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tr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adjustment indicated sta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female students compared to the boys had a greater level of academic stress. Middle school students reported to have greate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adjustment levels but less academic stress level than high school students. Although the amount of leisure tim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stress and the needs aspects, there was a significant one with school adjustment. The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however, was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variants. Thir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utonomy as its sub-factor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ub-factors such as competence and relatedness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duction of academic stress and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an lead to school adjustment.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