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청소년상담연구(학술지)
- 청소년상담연구지 26권 2호
-
2018.11211 - 228 (18 pages)
- 260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고,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도시 및 J지역 소재 대학생 620명에게 취업스트 레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고, 최종 608명의 자료를 분 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 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스트레스 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 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두 가지 하위변인인 적 응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 모두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인 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수록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켜줌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 으로 인한 부담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심리적 안녕감의 저하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특히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개입으로서 상담 및 교육이 중요함 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felt by college student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cognitive control of emotion in the relationship. A total of 608 college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areas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job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pre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ob-seek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 being. Second, bot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mediation effects on job-seeking stress to e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at participants utilized a served as a buffer between job-seeking stress in college students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an important factor for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with job seeking stres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