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인물성동론’에서 ‘인물동론’으로 – 연암 인물성동론의 재조명 –

The Philosophical Transition from Inmulseongdong Theory(人物性同論) to Inmuldong Theory(人物同論) –Yeon-Am(燕巖)’s Inmulseongdong Theory Revisited–

  • 188

이 논문은 노론계 ‘낙론의 종장’으로 평가되는 미호 김원행(渼湖 金元行)과 그에게 직접 수학(修學)한 담헌 홍대용(湛軒 洪大容), 그리고 담헌의 후배·동료이자 이른바 ‘북학파’를 이끌었다고 평가되는 연암 박지원(燕巖 朴趾源)으로 이어지는 낙론(洛論)계 세 학자의 ‘인물성동론’의 층차를 비교함으로써, 연암의 ‘인물성동론’을 재조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미호를 비롯한 기존 성리학자들에게는 인간과 물(物)이 형태를 갖추기 전, 아주 근원적인차원의 ‘본연’의 상태에서만 그들의 성(性)이 같다고 간주된다. 조금이라도 기질의 영향을 받게되는 현실의 차원에서는 인·물의 외형적 형태뿐아니라 도덕성 발현에 있어 차등이 발생한다. 미호의 인물성동론은 인·물의 ‘동등성’을 말하기보다 인간이 물(物)보다 ‘우월함’을 강조하기 위한 동론으로서, ‘배타적 인물성동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담헌에게는 현실적으로 드러난 기질의 차원이 훨씬 중요해진다. 기질과 형태적 차이는 종(種)적 특성을 드러낼 뿐, 인·물이 구현하는 도덕성은 형태의 차이를 초월하여 동일하게 완전하다는 것이 담헌의 ‘동론’이며, 이는 미호의 동론과 그 층차를 완전히 달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물의 동등성을 ‘물(物)에게서도 인간다운 도덕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에 근거하여 설명하 는 것은 여전히 ‘같음’의 기준을 인간중심적인 가치에 두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담헌의 인물성동론은 ‘인간중심적·도덕중심적 인물성동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암에게로 오면 본연지성이나 도덕성 같은것은 부차적인 것이 된다. 연암에게는 인·물의 본연지성, 도덕성의 발현, 형태적 차이 등이 관건이 되지 않는다. 연암이 주장하는 ‘같음’의 기준은 바로 그들이 동일하게 품부받은 생명력, 곧‘생기(生氣)’이다. 인·물이 존재의미와 목적, 그리고 생의 의지[生意]를 갖고 이 땅에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이미 동등한 가치를 부여받는 것이 다. 이런 의미에서 연암의 ‘동론’은 비단 ‘성(性)’의 동일성을 말하는 ‘인물성동론’에 그치지 않고 생의(生意)를 가지고 있다는 그 자체로 모든 개체가 동등한 지위를 공유하는 ‘인물동론’으로 확장된다.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the “Inmulseongdong Theory(人物性同論,)” of Yeon-Am Park Ji-Won (1737~1805) by comparing it with the theories of Mi-ho Kim Wonhaeng (1702~1772) and Dam-hun Hong Dae-Yong (1731~1783) and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Neo-Confucianism reflected in the Inmulseongdong Theory of Mi-ho(渼湖),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ings is the same when considered in a very fundamental state of nature(本然). However, under the slight influence of the Qi-zhi(氣質), in Mi-ho’s theory their nature has begun to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ir moral expression as well as in their physical form. Mi-ho still puts emphasis on human supremacy rather than on the equality of humans and nature, in what may be called “Exclusive Inmulseongdong Theory.” In Dam-hun(湛軒)’s opinion, human beings and things transcend their shapes but realize the same morality in various forms—with humane morality (propriety, righteousness) inside of them. Thus, Dam-hun’s Inmulseongdong Theory is very different from Mi-ho’s. However, it still places the highest value on humane morality. As such, his Inmulseongdong Theory can be called “Human-Supremacy Inmulseongdong Theory.” In Yeon-Am(燕巖)’s view,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in nature(性), morality, and shapes no longer matter. The standard of sameness is vitality(生氣). From this perspective, Yeon-Am(燕巖)’s “sameness theory” does not only encompass the “sameness of nature(性),” but also expands to the “sameness of existence,” which means that all creatures have equal value and share an equal status for their vitality and their will to live.

1. 들어가는 말

2. 미호의 인물성동론–배타적 인물성동론

1) 같음의 기준-본연지성

2) 인물심이(人物心異)

3) 인물성이론과의 비교

3. 담헌의 인물성동론–도덕주의적 인물성동론

1) 무형(無形)의 리(理)와 유형(有形)의 기(氣)

2) 인물심동형이(人物心同形異)

3) 같음의 기준-도덕성의 구현

4) 담헌 인물성동론의 한계–인간중심적·도덕중심적 인물성동론

4. 연암의 인물동론–생의(生意)를 가진 존재

1) 성(性)과 기(氣)의 관계

2) 생명력으로서의 성(性)과 기(氣)

3) 같음의 기준, 생의(生意)-“나 역시 물(物)의 하나”

5.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