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885.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공익법 운동의 성과와 도전* 1) - 한국 공익법 운동의 현주소와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the Korean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and the Korean Public Interest Lawyers Group GONGGAM -

  • 36

공익법 운동을 논함에 있어서 그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가 중요하 다. 이 글에서는 소수자의 인권보호 및 민주화와 권력 감시라는 협의의 틀, 법률가 중심의 공익법 운동, 그리고 ‘대의변론’, ‘사회정의변론’ 등 다양한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공익법을 다룬다. ‘공익법은’ 미국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한국에서는 1990년 중반부터 이 개념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공익법 운동 논의의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 하고, ‘쪼개져 확산된 이익’으로서의 공익이라는 개념의 지나친 강조는 원래 가치지향적인 사회적 개념으로서의 공익법 혹은 공익법 운동을 알맹이 없는 소극적이고 가치중립적인 개념으로 전락시킬 수 있는 위험을 내포했다. 또한 이러한 입장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기존의 한국의 공익법 운동을 집단 소송이라는 협소한 틀로 재구성하려는 편향을 보이기도 했다. 한국의 공익법 운동의 역사를 평가함에 있어 가장 주목해야 할 시기는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을 전후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법을 동원한 좀 더 목적의식적이고 조직적인 공익법 운동의 활성화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 후의 한국의 공익법 운동의 성과 혹은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정치·사법·입법 공간에서 상당한 성과를 축적해 온 점, 둘째, 공익법 운동의 다양화 및 다변 화, 셋째, 조직적 독립성과 직결되는 재정적 독립성의 확보 등을 들 수 있다. 공익법 운동의 앞으로의 과제와 관련해서는 첫째, 사회변화를 지향하는 담론투쟁, 즉 왜곡되고 편향된 사회적 인식과의 끊임없는 투쟁으로서의 공익법 운동의 성격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둘째, 조직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다양하고 다변화된 공익법 운동의 형태를 체계화하고 좀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끝으로, 내용적인 측면에서, 소수자의 인권보호와 민주화와 권력 감시, 자유 권과 사회권의 조화와 통합을 이루어나가야 한다. 한국의 공익법 운동의 역사의 한 장을 차지하고 있는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은 국내 최초로 비영리로 운영되는 전업적 공익변호사들의 모임이다. 공감은 ‘현장에서 출발하여 경계를 넘어 변화로, 그리고 다시 현장으로’라는 지향을 가지고 ‘이견은 많지만 오해는 없는’ 자유로운 개인들의 평등한 공동체로서 존재하여 왔다. 여성, 장애인, 이주와 난민, 빈곤과 복지, 주민자치, 공익법 일반의 영역 등의 영역에서 공감은 공익단체 변호사 파견 및 네트워크 네트 워킹, 공익소송과 제도 개선, 단체활동가 법률교육 및 법률매뉴얼 출판, 공익법 관련 연구 및 조사, 공익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중개, 그리고 인턴쉽 운영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또한 공감은 100% 개인과 단체의 기부로 운영되는 비영리 조직모델을 발전시켜 왔고, 활동 내용 중심의 홍보에 집중하여 왔다. 공감의 한계는 당장에는 “능력의 부족”, “자원의 부족”의 문제로 집약되고더 나아가서는 장기적인 전략의 불분명함을 들 수 있다. 소수자, 사회적 약자의 인권의 구현을 지향하지만, 7인의 변호사와 2인의 간사가 할 수 있는 일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한국의 공익법 운동과 공감의 운동은 모두 현재진행형이며 미완성, 불완전한 형태로 존재한다. 전체적인 방향과 구체적인 이슈에 대한 대응에 이르기 까지, 그리고 담론의 수준에서 개별적인 내용, 형식에 이르기까지 아직 한국 공익법 운동이 개척해야 할 길은 끝이 없고, 공감이 앞으로 해야 할 일들도 많다.

When discussing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it is important how we define its scop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narrow framework of human rights protection of minorities, democratization and power monitoring, lawyer-centered public inetrest law movoment, and public interest law whose meaning encompasses various similar terms such as ‘cause lawyering’ and ‘social justice lawyering’. The term ‘public interest law’ was originated from the U.S. and we began to use the term in Korea from the mid-1990s. However, with all positive aspects of the discussions on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excessive emphasis on the term public interest as ‘diffuse interests’ had the risk of replacing the term public interest law or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as a value-oriented social concept with a passive and value-neutral concept without contents. Furthermore, this position even showed tendency to reframe the existing Korean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with its long history and own tradition into a narrow framework of class actions. In review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the most notable period is just before and after the Democratic Movement in June 1987. This period became the turning point of a more purpose-focused and systemized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with legal mobilizing to be revitalized. Since then, the Korean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witnessed a number of achievements such as substantial progress in political, judicial and legislative spaces, diversification of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financial independence with is direc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independence. For the challenges ahead for the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first, we should make it clear that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is for discourse struggle pursuing social change, i.e. endless struggle against distorted and biased social perceptions. Second, in organizational aspect, there is a need for systemizing and developing further the present various forms of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Finally, for the contents, there should be harmony and integration between human rights protection of minorities and democratization and power monitoring, and civil rights and social rights. Occupying a chapter in the Korean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history, the Korean Publicn Interest Lawyers Group GONGGAM is the first non-profit full-time public interst lawyers’ group in Korea. With its vision ‘Starting from the field, Overcoming barriers for change, and then back to the field again’, GONGGAM has existed as a free individuals ‘equal-membership community ‘with a lot of different opinions but without misunderstanding.’ GONGGAM‘s areas of practice includes women, persons with disabilities, migrants and refugees, poverty and welfare, self-government of local residents and public interest law in general. We have been working through dispatching lawyers to NGOs and networking networks, public interest litigation and legal reform, legal training for NGO staff and publication of legal manuals, public interest law related research, development of pro bono programs and mediation, and management of internship program. In addition, GONGGAM has developed a non-prfit organizational model managed solely by donations from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d its public relations has been aminly focused on its activities. The limitations of GONGGAM can be summarized as “lack of capacity” and “lack of resources”, and besides, its long-run strategy is not that clear. Even though it pursues the full realization of the human rights of minorities and marginalized people, its work is inevitably restrcited with only 7 lawyers and 2 coordinators. The Korean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and GONGGAM’s activities are all still in progress yet to be completed. From mapping overall direction to response to a specific issue, and from discourse level to certain content or format, the road to be explored by

Ⅰ. 들어가며

Ⅱ. 한국 공익법 운동의 현주소

Ⅲ.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공익법 운동의 하나의 모델

Ⅳ. 나오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