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마을교육공동체 논의와 실천이 일부 지역에서 시작되고 있다. 마을교육공 동체가 만들어지려면 일정하고도 지속가능한 시간, 학생들이 생활하고 배우는 넓고 많은 공간, 마을수업에서부터 교육협동조합까지 다양한 현상이 있어야 한다. 결국 마을교육공동체는 학생들을 함께 키우고, 배움터가 되고, 주인이 되는 일이다.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논거는 교육생태학 관점의 ‘복잡성 교육학’과 사회적 자본이나 교육거버넌스 접근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런 논거를 기반으로 작은 마을, 중간 마을, 큰 마을의 흐름과 학교 주도형, 마을 주도형, 센터 주도형의 유형 분석과 실천 사례도 눈여겨보아야 한다. 이를 통해 살펴본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는 ‘마을에 관한’, ‘마을을 통한’, ‘마을을 위한’ 교육이 될 수 있다. 정책 방향과 제언으로 ‘기초 단위의 교육적 요구와 실천’, ‘지역사회의 교육력’, ‘협력적 교육거버넌스 체계’, ‘교육문화적인 접근’을 제시할 수 있다.
Ⅰ. 들어가며
Ⅱ.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이해
Ⅲ.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개념 정립
Ⅳ.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논거
Ⅴ. 마을교육공동체에 비친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와 실천 사례
Ⅵ.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정책 제언
Ⅶ. 나가며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