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929.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공립대 여성교수 현황 분석 및 비율 확대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Low Rates of Female Professors in South Korea

  • 94

본 연구는 여성교수 비율의 변화 추이와 최신 현황을 분석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국공립대학 여성교수의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책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공립대 여성교수 비율 증가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후 비율 상승을 위한 제도적 측면에서 기존의 노력과 문화적・인식적 측면에서 여성교수의 비율이 낮았던 배경을 탐색한다. 그 후 박사학위 취득자 중 여성의 비율과 학과계열별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향후 추세를 예측한다. 이어서 여성교수 비율을 대학설립별・유형별로 살펴보고, 학과계열별 여성교수 실태와 특성을 분석한 후, 마지막으로 국공립대 여성교수의 비율을 향상시킬 대책을 제도적 측면과 문화적・인식적 측면에서 마련한다. 이를 위해 관련 법령과 교육부 및 관련기관에서 발행한 각종 보고서 및 관련 연구 등과 언론 보도 자료, 기존연구 등을 검토한다. 연구결과, 여성교수의 비율은 사립대학교가 국공립대보다 전반적으로 높고, 학문계열별로 보면 교육계열이 가장 높으며, 공학계열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상으로 보았을 때에는 여성교수의 비율이 증가한 것처럼 보이지만 박사학위 취득자 중 여성의 비율과 여성교수의 비율 추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대학 내 여성교수의 비율은 여전히 낮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국공립대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여성교수 비율을 높이기 위해 조금은 강제성을 갖는 제도적 지원 및 제재를 확대하고, 문화적・인식적 측면에서 사회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적인 측면에서의 양성평등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질적인 측면의 양성평등을 위한 제도적 장치 또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만을 위한 평등이 아닌 남녀중심의 진정한 양성평등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low rates of female professors in South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national universities by using data from education statistical year book, related research, and media. The study first examines previous research on gender equality issues and the studies on the rates of female professors. In addition, the study probes into the background on low rates of female professors in relation to institutional, cultural, and perception perspectives. Then, the study analyzes the rates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who received a doctorate followed b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rates of female professors in universities by types, foundations, positions, and majors. Lastly, the study seeks possible explan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low rates of female professors, especially the reasons for the low rates of female professors in national universit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rates of female professors are higher in private universities than national universities. The highest rates of female professors are shown in the education majors, whereas the lowest rates are found in the engineering majors. Moreover, the tendency of low rates of female professors has been slightly intensified when compared to the rates of female who received doctoral degrees, more in national universities than private universities. The study suggests expanding institutional support as well as restrictions and forming a social consensus on gender equality to increase female professor rates. Furthermore, institutional strategy should be discussed both on quantity and quality. Lastly, gender equality should be expanded not only for female but for everyon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공립대 여성교수 임용제도 및 문화 분석

Ⅳ. 여성교수 비율 현황 및 추이 분석

Ⅴ. 국공립대 여성교수 비율 확대 방안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