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929.jpg
KCI등재 학술저널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성과와 젠더 특성에 관한 종단 연구

Gendering Injured Workers’ Return-to-Work Performance : Evidence from South Korea

  • 56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경로와 성과를 젠더 관점에서 들여다보았다. 노동을 매개로 작동하는 산재보험제도는 복지국가의 다양한 젠더 관계의 교차점임에도 불구하고 젠더 관점의 연구가 소극적인 편이다. 이에 본고는 직업복귀 성과를 직업복귀 이행, 임금소득, 직무 만족도의 세 가지 차원으로 정의하고, 산재보험패널조사의 1~5차년도 종단데이터를 사용하여 직업복귀의 과정 속에 가려진 젠더의 특성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산재근로자의 경우 요양종결 후 5년간 직업복귀 이행(①)에 있어서 과거 재해가 발생하였던 당시의 요인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재해 특성으로 인하여 여성 산재근로자 내에서 격차와 균열이 발생하는 모습을 드러내었다. 임금소득의 변화(②)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개인・가구 및 일자리 특성의 요인들이 유의하였다. 한편 직업복귀의 질적인 성과를 측정하는 ‘직무 만족도(③)’에서는 여성과 남성 산재근로자에서 공통적으로 재해를 통하여 포착되는 특성이 여전히 산재근로자의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를 제약하거나 통제하는 메커니즘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산재근로자의 종단적인 직업복귀 성과에는 젠더 특성이 존재함을 실증하였고, 산재근로자의 성별 간 차이를 고려한 젠더 인지적연구 및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논증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gendering the Return-to-Work(RTW) performance of injured workers in South Korea.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addressed gender differences in a labor market participation so far, few studies have conducted to uncover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focusing on injured workers.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jured workers are so different from non-injured workers in many aspects, further studies dealing with the injured workers need to be conducted.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d the RTW Performance as three dimensions: 1) RTW achievement, 2) the wage income, and 3) the job satisfaction. And then, this study tried to unveil the gender differences in RTW performance of injured workers by using PSWCI(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longitudina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in case of female injured workers, unlike to the case of male injured workers, their “RTW achievement” is still affected by the factors related to employment condition before the incident occurred within five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medical care(model 1), and that the nature of occupational injury/illness caused gaps and cleavages within them. As for the change in “wage income”(model 2), the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household,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gender.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job satisfaction”(model 3), which measures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RTW,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injury/illness still limits or control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commo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noteworthy that the factors resulting from occupational injury/illness continues to affect the RTW performance over the five years after the end of the care. This study addresses the RTW performance of injured workers from the perspective of a gender and demonstrates the needs for further researches and policies taking into account the gender differences.

Ⅰ. 서 론

Ⅱ. 제도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형 및 분석 자료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