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938.jpg
KCI등재 학술저널

1910년대 모험서사의 번역과 일인칭 서술자의 탄생

The Translation of Adventure Narration and the Formation of First Person Narrator in 1910’s

  • 91

서술자와 시점은 소설이 어떻게 서술되는가뿐만 아니라 작가로부터 독자에게 전달되는 작품의 가치와 태도를 확정하고 세계관을 전달하며, 사회적 형식과 미학적 형식을 이해하고 통합하고 수단이 된다. 따라서 근대 이후 새롭게 등장하고, 동시에 실패하는 일인칭 서술자(들)을 검토하는 것은 문학사 및 문학의 본질과 관련하여 핵심적인 과제에 해당할 것이다. 특히 한국어의 인칭 변화는 어미와 선어말어미 등 동사의 활용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일인칭 서술자의 등장은 새로운 소설 문체의 성립 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1910년대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지식인 고백체 소설을 중심으로 일인칭 서술자의 등장 및 소설의 언문일치체 확립을 논의해 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근대 초기부터 꾸준히 등장한 일인칭 서술자의 흔적들과 1910년대에 새롭게 번역되고 창작된 일인칭 모험서사들은 거의 논의되지 못했다. 1913년에 번역된 허풍쟁이 모험 긔담과 1915년 창작된 신소설 螢月 등은 근대문학사에서 일인칭 서술자가 탄생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보여주고 있다. 일인칭 서술자는 소설 속에서 ‘나’가 등장한다는 것의 존재론적 위상을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문학사에서 근대적 언문일치체가 탄생하고 실험되는 과정과도 밀접히 관련된다. 특히 허풍쟁이 모험 긔담과 형월은 신소설에서 사용되었던 구어체를 언문일치체로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대의 다양한 언문일치체 실험의 한 과정으로서 주목될 수 있다.

The narrator and point of view do not simply work to show how a novel is described. They convey the author’s attitude and view of the world. Furthermore, they are the methods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aesthetic formats of litera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refore, it must be an essential task to review the first-person narrator(s) that emerged after the modern era. Especially, since the change of person (subject) in Korean language alters the forms of following verbs including their final endings and pre-final endings, the emergence of a new ‘first person’ narrator in Korean novels is close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novel style that features the changes of final endings. Until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discussed the emergence of first-person narrators and established the concept ‘the unity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focusing on the Confessional novel of intellectuals, which began to appear in the late 1910s. In this process, however, the traces of the first-person narrator, which have been consistently translat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and the first-person novels that began to emerge in the 1910s were rarely discussed. The Adventures of Baron Munchhausen, translated in 1913, and the Sinsoseol Hyeong Weol, written in 1915, demonstrate the interesting process of the birth of first-person narrators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The two novels are new types of first-person narrative novels that use different styles of the unity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Through these novels, the existence of “I(나)” as a narrator could finally appear in modern Korean novels.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The Adventures of Baron Munchhausen and Hyeong Weol is that the two novels use colloquial styles that appeared in Sinsoseol, such as ‘-오/소’, ‘-ㅂ디다’, ‘-리다’, and ‘-구려’, as their narrative styles. This feature deviates from the general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hich delineates the development of narrator as the rise of obscure narrator whose identity is not easily identified through his or her narrative. Thus, by analyzing the two novels, one can discover the new possibilities of early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in which various stylistic experiments were freely made.

1. 모험의 형식과 경험의 서사화

2. 번역된 일인칭 서술자와 번역되지 못한 형식들: 파션밀 (1907)

3. 모험의 번역과 일인칭 서술 문체의 창안: 허풍션이 모험 긔담(1913)

4. 언문일치체로서의 구어와 예외적 문학(사): 형월(1915)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