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와 원삼국시대 분묘의 공간분포와 그 의미

Study on tomb style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eir spatial dispersion in Mid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23

90년대 이후 중서부 내륙지역과 서해안지역에서 주구가 있는 원삼국시대 묘제가 잇달아 발견되었고 이는 마한의 묘제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들 묘제 출현 이전의 묘제는 지석묘 중심이었으며, 그 특징은 지상에 거석으로 境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러한 전통이 갑자기 흙을 쌓아 만든 境도 혹은 封境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그 변화의 배경이나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지석묘와 주구묘의 공간분석을 통해 청동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로 이행되며 나타나는 지역중심지의 변화 유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 이를 바탕으로 지석묘의 소멸과 분구묘, 주구토광묘의 등장 배경과 그 계통에 대해 접근해 보았다. 공간분석 결과, 지석묘는 그 밀집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그보다 밀집도가 낮은 지석묘군을 포함하며 지역군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조직된 지역군을 중심으로 그보다 밀집도가 낮은 지역군이 파생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지석묘의 지역중심은 지역군인 母집단과 이에서 분화되어 나온 子집단의 분포지역이며, 그 지역중심의 위계는 모집단이 더욱 높은 것으로 유추 하였다. 다음으로 분구묘, 주구토광묘군의 공간분석 결과 유적 대부분이 지역중심지와 약 4km 내외의 거리를 두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분구묘와 주구토광묘군의 경우, 거의 대부분 현재의 면단위 이상의 중심지에 대응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 중심지는 적어도 원삼국시대 이래의 장기 지속 취락이었다고 생각된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보면, 분구묘에 대응되는 지역중심지는 지석묘 밀집지역에 포함되거나 이와 연접하고 있다. 반면 이와 동떨어진 분구묘는 대부분 4세기말~5세기 후반에 조영된 것으로, 백제의 지방편제 과정 속에서 나타난 새로운 지역중심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청동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로 이행 되는 과정 속에서 지역중심이 이동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결국 분구묘는 지석묘사회의 지역중심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성장 · 발전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분구묘 중심지역이 대부분 청동기시대의 높은 위계를 가진 중심지역이 아닌 그 자집단들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지석묘 사회가 철기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지역중심과 그 하위 지역중심과의 관계가 재편되었음을 시사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주구토광묘의 경우 대부분의 유적이 지석묘 밀집지역과 연관관계를 찾을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분구묘와 주구토광묘 사용 집단간에 배타성이 작용하진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두 묘제는 청동기시대 정착농경의 시작과 함께 각자의 지역성을 띄며 성장 · 발전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석묘는 설기분화의 유입과 그에 따른 농경지 확보에 필요한 노동력의 확보 등 사회적 이유로 소멸하였으며 분구묘와 주구토광묘는 청동기시대 정착농경의 시작과 함께 각자의 지역성을 띄며 성장 · 발전하여 마한이라는 정치체를 형성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Builders of tombs, found in mid-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originated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remained uncertain until the 1990s. It was after consecutive excavation of tombs in the mid-west and west coast area when researchers established a general consensus that those tombs belong to Mahan. Major type of tombs before Mahan was dolmen, which uses megalith on top of the burial site. This practice suddenly changes into using earth to build barrows or burial mound tumulus in Mahan era. However, not many researches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such changes. This research utilizes spatial analysis (or GIS data analysis) of dolmens and Jugumyos that were spread throughout mid-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nalysis checks for the presence of changes in regional center during the transition from Bronze Period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Based on this analysis, the thesis aims to explain the disappearance of dolmen and the origins, background and sorting issue of Bungumyo and Jugu-Togwangmyo. The analysis of dolmens shows a pattern of zone formation. A zone has a central area with high density of dolmens and several areas with low density the tombs. More areas with even lower density of dolmens derive from the first zone. From the finding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regional center of the dolmens consists of centralized and peripheral areas that stem from the former area which is higher in terms of regional hierarchy. Spatial study of Bungumyo and Jugu-Togwangmyo presented that most of these tombs were within 4km from regional centers. Moreover,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gional centers overlapped with contemporary regional hub that is bigger than township level, showing that current regional centers are long lasting communities that existed at least sinc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Regional centers of Bungumyo were within or in junction with dolmen concentrated areas, and those exceptions distanced from dolmen centers were newly formed regional centers that emerged during the 4th~5thcentury when Baekjae was reorganizing districts. This means that the regional centers did not move during the transition from Bronze Age to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us Bungumyo developed and advanced on the regional centers of dolmens. However, as most of the Bungumyo regional centers were located in lower hierarchy regions of Iron Age,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dolmen society’s traditional regional hierarchies and relations have altered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Iron Age.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Jugu-Togwangmyo sites are located in areas that are hard to identify specific relationships with regional centers. This suggests the group which built Jugu-Togwangmyo were related to groups that used different tomb types in the Bronze Age. Yet,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re were exclusiveness between the Bungumyo building groups and the Jugu-Togwangmyo builders. In addition, these two groups developed settled agricultures in each of their respective regions as the Bronze Age began. Thus,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introduction of Iron Age and subsequent social changes such as the need to acquire stable labor for settled agricultures led to the disappearance of dolmens. During the advent of the Bronze age, Bungumyo and Jugu-Togwangmyo progressed independently from one another and formed the political system of Maha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