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공공운송 시설물 앰비언트 광고
Ambient advertising of publictransportfacilities at home and abroad: A Study on Creative s Experience-Specific Form andrhetorical Expression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4, No. 1(통권 10권)
- 2019.03
- 72 - 82 (11 pages)
이 연구는 빠르게 변하는 광고 미디어의 생태계에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공공디자인 속의 앰비언트 광고 표현은 어떤 형태로 소비자에게 수용되는지 주목하였다. 연구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체험을 주는 형태로 변화된 크리에이티브 표현들을 분석하여 향후 앰비언트 광고를 만들 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세계 3대 광고제의 수상작 및 출품작 중 공공교통 운송기기와 이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경로에 설치된 앰비언트 광고를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번 슈미트(bernd schmitt)의 체험 마케팅을 통한 체험 유형을 둘째, 수사법(修辭法)을 통한 표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체험 마케팅에서는 단일 체험형들이 결합된 관계적 체험형이 과반이 넘는 분포를 보였고 수사법에서는 비유법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The study noted in the ecosystem offast-changing advertising media, in whatform is the expression of the Ambient Advertising in the public design we face in our daily lives accepted by consumer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help create an Ambient advertisement by analyzing creative expressions that have been changed to giv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The scope of the research investigated public transport devices and Ambient Advertisements installed in the transport route for use among the world s three major advertising systems from 2014 to 2018. First, the type of experience was analyzed using the experience marketing of bernd schmitt. Second, we analyzed creative expression using Rhetoric. When analyzing experience marketing,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related experience types combined with a single experience type were distributed. Analysing Rhetoric showed the most distribution of expressions using metaphors.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공공디자인및앰비언트광고의이론적배경
2-1. 공공디자인의 개념
2-2. 앰비언트 광고의 개념
2-3. 앰비언트 광고의 공공디자인적 가치 3. 체험마케팅과 수사법의 이론적 배경
3-1. 번 슈미트의 체험마케팅 이론
3-2. 앰비언트 광고와 체험마케팅
3-3. 수사법의 정의 및 표현 분류
3-4. 앰비언트 광고와 수사법
4. 국내외 앰비언트 광고의 표현 유형 분석
4-1. 감각적 체험 사례와 수사법 유형분석
4-2. 감성적 체험 사례와 수사법 유형분석
4-3. 인지적 체험 사례와 수사법 유형분석
4-4. 행동적 체험 사례와 수사법 유형분석
4-5. 관계적 체험 사례와 수사법 유형분석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