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948.jpg
KCI등재 학술저널

土器 生産遺蹟으로 본 古代 榮山江流域

A Study on Ancient Yeongsan river basin based on Pottery kiln site

  • 19

본고에서는 최근 발견된 자료를 포함시켜 영산강유역의 고대 토기 생산유적을 단계 설정한 후 큰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영산강유역의 고대 토기 생산유적은 최근까지 3∼7세기로 추정되는 20여곳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적의 존속 기간, 요의 구조, 출토 토기 등으로 보아 토기 생산유적을 4개의 단계로 설정하고 그에 반영된 의미를 검토해보았다. 영산강유역은 마한단계부터 독특한 토기문화가 나타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Ⅰ단계는 대체로 노천요로 추정되고, Ⅱ단계인 3세기경부터 여러 지역에 넓게 나타나는 등요는 새로운 토기문화의 출현과 성행과 결부된 이 지역 마한 소국들의 성장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Ⅱ기인 3세기경부터 여러 지역에 넓게 나타나는 등요는 새로운 토기문화의 출현, 성행과 결부된 이 지역 마한 소국들의 성장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Ⅲ-1단계인 5세기 전·중엽에는 개별 요의 수나 규모, 생산유적의 규모가 커지는 양상이 나타나는데 여러 지역에서 비슷하게 낮은 완이나 초기 개배, 토제 아궁이틀 등 백제 유물이 나타나고, 이후 외래계 요소도 추가되는 점에서 이를 영산강유역 지역세력의 성장으로만 말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충청지역의 토기요지나 토기 등과 이어지고 있는 점에서 이 지역세력을 매개로 한 백제와 영산강유역의 관계가 상정된다. Ⅲ-2단계, 5세기 후엽 이후 영산강유역 토기요지의 토기는 어느정도 정형화, 통일성도 나타난다. 이는 자체적인 변화나 발전도 있었겠지만 그보다 백제의 영역화과정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그 영향으로 지역별로 어느정도 통일적인 영산강유역 지역양식의 형성이 가능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sort out the current state of pottery kiln site from ancient times(Mahan~Baekje) in the Yeongsan river basin, set their stages, and figure out the aspects of the river basic in ancient times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stag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ere were approximately 20 ancient pottery kiln site from the third to seventh century. They were categorized in four stages according to duration and excavated pottery. The Yeongsan river basin is well-known for its unique pottery culture, which is well demonstrated in Stages Ⅱ and Ⅲ. The pottery kiln site of Stage Ⅱ after the third century are represented by climbing kilns spread across vast areas, are connected to the emergence and prevalence of a new pottery culture, and offer a clear picture of the growth of Mahan s small-stat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Since the fifth century in Stage Ⅲ-1, the size of individual kilns and that of kiln site grew bigger. There were similar patterns among many different area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e it as a sign of the simple growth of native force. Given their connections to pottery kilns and pottery in the Chungcheong region, it is estimated that relations were formed between Baekje and the Yeongsan river basin via this native force. Some degree of standardization and unity was found in pottery excavated in the pottery kiln site of the sixth century or later in Stage Ⅲ-2. There is a big possibility that it was an outcome of Baekje s territorialization rather than the area s own change or development. It is estimated that its influence resulted in native styles that were standardized by the area to some degree.

Ⅰ. 머리말

Ⅱ. 영산강유역 고대 토기 생산유적의 현황

1. 3∼4세기대

2. 5∼7세기대

Ⅲ. 토기 생산유적의 단계 설정과 지역 적 차이

1. 조업 시기와 단계 설정

2. 지역적 차이

Ⅳ. 토기 생산유적으로 본 고대 영산강 유역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