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에 존재했던 길이나 이동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은 쉽지 않은 일이다. 자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몇 가지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접근을 시도해보았다. 먼저 길의 존재를 유형적인 것과 무형적인 것으로 구분하였다. 전자는 다시 주거영역과 매장영역으로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유형의 길로는 강계 공귀리 교통호·염주 주의리 출토 수레바퀴·진안 여의곡의 지석묘 상석운반로·서천 오석리 묘도를, 무형의 길로는 송국리형문화의 전개 루트 와 병부과장식석검의 유통 루트를 제시하였다. 「길의 고고학」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고고학적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고고학 현장에서 조사 체계의 확립이 선결과 제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해석의 잠재적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무형적 영역 속에서 고고학적 맥락에 대한 관심과 점검 노력, 그리고 연구 체계의 유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aking an archaeological approach to roads and movement in the Bronze Age is not an easy task. Despite the limited amount of data available,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subject based on a small amount of archaeological data. First of all, roads are classifi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ones, with the former group subdivided into residential areas and burial areas. As regards tangible roads, various roads are referred to including the road in Gonggwi-ri(Ganggye), the fragments of a wheel found in Juui-ri(Yeomju), the road used to transport the capstone of the dolmen in Yeouigok(Jinan), and the road to the tombs in Oseok-ri(Seocheon). As regards intangible roads, the development route of the Songguk-ri type culture and the distribution route of stone daggers with an exaggerated hilt are discussed.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n archaeology of roads, it is essential to make efforts at archaeology sites.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establish an investigative system at excavation sites as the most important task. In addition, despite potential risks of interpretation, this paper expresses the need for deeper interest in the archaeological context and efforts in reviewing, and for a patterning( 有形化 ) of research objects.
Ⅰ. 머리말
Ⅱ. 길, 이동, 그리고 고고학
1. 길의 개념과 고고학적 접근
2. 유형적 이동과 길
3. 무형적 이동과 길 : 문화 루트 (cultural route)
Ⅲ. 길의 존재와 유형화
1. 길의 존재와 인식
2. 길의 유형화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