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951.jpg
KCI등재 학술저널

2~4세기 중서부지역 주구토광묘와 마한 중심세력 연구

A Study on 2nd~4th centuries’ Jugu-Togwangmyo at the Midwest Regions & Central Power at Mahan

  • 23

지금까지 2~4세기 중서부지역의 분묘에 관한 연구는 개괄적이거나, 부장품의 형식변화 또는 신기종의 등장에만 주목하였으며, 지역적 분묘의 특징 및 변화과정은 배제되었다. 또한, 동시기 지역 간의 분묘 형태나 부장양상의 비교를 통한 지역권 설정과 중심 세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묘제를 편년하여 그 특징과 분포 양상을 단계별로 비교·검토하고 세부지역권을 설정하여 중서부지역 중심세력권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서부지역의 분묘는 주구 유무와 목관, 목곽의 형태에 따라 6가지로 구분된다. 여기에 부장품의 동반관계, 주구토광묘의 출현과 소멸, 목곽의 사용, 합장묘의 등장 등을 종합해보면 시기는 세단계로 나뉜다. Ⅰ단계는 단순토광묘만 사용되었다. Ⅱ단계에 이르면 주구토광묘가 주로 사용되고, Ⅲ단계가 되면 주구토광묘의 사용이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지역권 설정은 분묘형태, 자연지형, 부장품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 중서부지역은 곡교천유역권, 산방천유역권, 미호천상류권, 미호 천중류권, 미호천하류권, 남한강유역권, 정안천유역권, 갑천유역권으로 구분된다. 유적의 규모, 부장품의 양, 지역적인 부장품의 중심지역, 위계 등을 살펴보았을 때 곡교천유역권과 미호천중류권을 원삼 국시대 중서부지역의 중심세력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Ⅱ-3단계 이후가 되면 중서부지역에서는 주구토광묘의 축조가 중단 혹은 감소되는데, 그 원인에는 백제의 성장과 더불어, 3세기 후반을 기점으로 사료에 마한이 등장하지 않는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곡교천유역권에서는 Ⅲ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주구 토광묘가 축조되는데 이를 보아 이 지역은 외부의 압박에도 자신들 의 세력을 다른 지역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미호천중류권은 곡교천유역권과 달리 Ⅲ단계부터 단순토광묘가 집중적으로 축조되고, 새로운 토기가 부장된다. 이는 당시 미호천중류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외부의 문물을 받아들인 결과이다.

Studies on tombs at the Middle-Western region in the 2nd~4th centuries have been too general or paid attention only to a formal change of burial accessories or the advent of new kinds of goods, excluding a regional characteristic or transition of a tomb. Hence, this paper conducted chronology of a tomb system at the midwest regions, comparing and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al aspects by step. and set a detailed regional zone and investigated the central power at midwest regions. Regional zone was set based on a tomb type, natural topography and burial accessories. As a result, midwest regions are divided into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basin zone of Sanbang River, upstream zone of Miho River,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downstream zone of Miho River, basin zone of South Han River, basin zone of Jeongan River and basin zone of Gap River. Considering a scale of ruins, amount of burial accessories, central region and hierarchy of buried goods, it is possible to regard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and a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as the central power of the midwest region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On the other hand, at the midwest regions, construction of Jugu-Togwangmyo was ceased or decreased. On the contrary, Jugu-Togwangmyo was constructed continually to the phase ? at the basin zone of Gokkyo River so this region is regarded to maintain its power longer than other regions though there were external pressures. However, at the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unlike the basin zone of Gokkyo, a simple Togwangmyo was constructed intensively and new potteries were buried from the phase Ⅲ. It resulted from active acceptance of an external culture by those days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Ⅰ. 머리말

Ⅱ. 연구현황과 방법

1. 기존 연구성과와 문제점

2. 연구목적 및 방법

Ⅲ. 묘제의 분석 및 단계설정

1. 묘제의 분류

2. 유구 및 유물동반관계 검토

3. 단계설정

IV. 지역권 설정 및 마한중심세력 검토

1. 지역권 설정 및 검토

2. 마한 중심세력 검토

V. 맺음말

로딩중